[무주,장수,진안,남원,임실,전주] 맛, 멋, 소리가 넘치는 페스티벌 즐기기

코스 중 무주반디랜드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장수승마레저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마이산도립공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광한루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춘향테마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남원항공우주천문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임실치즈테마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한옥마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무주반디랜드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장수승마레저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마이산도립공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광한루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춘향테마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남원항공우주천문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임실치즈테마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한옥마을의 대표 이미지
연관태그
동부권 2박3일 체험형 테마코스 체험 학습
여행후기
☆☆☆☆☆ (0)건
코스소개
  • 무주반디랜드
  • 장수승마레저파크
  • 마이산도립공원
  • 광한루원
  • 춘향테마파크
  • 남원항공우주천문대
  • 임실치즈테마파크
  • 전주한옥마을

수학여행코스

○ 1일
학교출발 → 중식 → 무주 반디랜드 → 장수 승마체험 → 숙소 → 석식 → 학교 자체 프로그램 운영 또는 자유시간 → 취침
○ 2일
기상 → 조식 → 마이산 관람 →중식→ 남원 광한루원 , 춘향테마파크 관람 → 석식 → 천문대관람 →숙소→ 취침
○ 3일
기상 → 조식 → 임실 치즈테마파크(치즈만들기 체험) → 전주 한옥마을 관람→ 중식 → 학교 이동

코스소개

공연·전시 관람과 역사·문화 체험을 함께 하며 오감을 자극하는 여행이다.
‘의기와 절개’의 고장인 장수군과 한국 관광의‘으뜸명소’인 전주한옥마을을 둘러보면서 선조들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경험하고, 오묘한 탑사의 비밀을 간직한 진안 마이산과 대한민국 ‘치즈 1번지’ 임실치즈마을, 사랑의 향기가 자연스레 스며드는 ‘판소리의 고장’ 남원에서는 눈과 코와 입과 귀가 즐겁다.

무주반디랜드

◎ 이용시간 안내   시설물명 이용시간 휴관일 곤충박물관 동절기(11월~2월): 09:00~17:00 하절기(3월~10월): 09:00~18:00 1월1일, 명절 당일(설, 추석), 매주 월요일 (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는 그 다음날) 천문과학관 동절기(11월~2월): 13:00~21:00 하절기(3월~10월): 13:00~22:00 청소년 수련원 입실: 14시 부터 퇴실: 11시 까지 1월 1일, 명절연휴(설, 추석) 청소년 야영장 입실: 14시 부터 퇴실: 12시 까지 연중무휴 야외 물놀이장 7월~8월 운영: 10:00~17:00 1월1일, 명절 당일(설, 추석), 매주 월요일 (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는 그 다음날) 사계절 썰매장 10:00~17:00 1월1일, 명절 당일(설, 추석), 매주 월요일 (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는 그 다음날) ◎ 곤충박물관 영상관 운영시간 안내   3D 입체영상관 돔 영상관 평일 주말 평일 주말 09:30 09:30 10:00 10:00 11:00 11:00 11:30 11:30 13:00 13:00 13:30 13:30 14:30 14:30 15:00 15:00 16:00 16:00 16:30 16:30 17:00 17:00 17:30 17:30 ※동절기(11월~2월) 평일은 17시, 17시30분 영상은 운영하지 않습니다. ◎ 천문과학관 영상관 및 관측프로그램 운영시간 안내   관측프로그램 3D 입체영상관   11월~2월 3월~4월 5월~8월 9월~10월   상영시간 소요시간 주간 13:30~14:20 13:30~14:20 14:00~14:50 13:30~14:20 1차 13:30 18분 14:30~15:20 14:30~15:20 15:00~15:50 14:30~15:20 2차 14:30 18분         3차 15:30 18분 박명시간 (관측불가) 박명시간에 따라 야간관측 시작시간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4차 16:30 18분 5차 17:30 18분 6차 19:00 18분 야간 19:00~19:50 20:00~20:50 20:00~20:50 20:00~20:50 7차 20:00 18분 8차 21:00 18분 ※동절기(11월~2월)에는 8차(21시) 영상은 운영하지 않습니다. ◎ 관람시 유의사항 - 음식물 반입이나 애완동물을 동반하여 입장할 수 없습니다. - 단체관람객(20인 이상)은 단체예약을 한 후 이용하여야 합니다. - 영유아는 다른 관람객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각별한 보호를 부탁드립니다. - 삼각대, 플래시 등을 이용한 촬영과 상업적 용도의 촬영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 실내에서는 자전거, 킥보드, 인라인스케이트 등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 방문 전에 날씨 정보 및 천문관련 정보를 습득하시면 관람에 도움이 됩니다.   ※ 반디랜드 모든 공간은 금연구역입니다.

장수승마레저파크

소개 건전하고 재미있는 스포츠인 승마의 대중화를 위해 전국 최고의 시설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승마를 체험할 수 있다. 아름다운 산악을 일망할 수 있는 봉황대 산록에 위치하는 장수승마체험장에서는 초보자도 교관선생님의 지도하에 승마를 즐길 수 있다. 규모가 31,361㎡ 의 부지에 실외마장 (888㎡), 희귀말전시장, 외승코스, 장수 가야 철마, 관리사, 마방(20칸)이 갖추어져 있고 승용마 14두, 관상마 8두의 말을 사육하고 있다. 출처_장수군문화관광홈페이지 명실상부한 승마의 고장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천천면 월곡리 총 84,000평의 면적에 마사, 승마장, 보행장, 야욕장, 보행기, 주행로 8km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전국대통령기 승마대회 및 전국학생 승마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장수군은 천천면일대의 20여 만 평의 부지에 승마레저타운을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승마체험센터와 승마공원 골프장 등의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주말 가족단위 여행객들을 위한 호텔등 대규모 숙박시설도 준비 중이다. 천천면의 월곡승마장과 한국마사고등학교도 승마체험의 상징지역으로 이들 시설이 완공되면 장수군은 명실상부한 승마의 고장으로 다시 태어날 것이다. 종합생태관광지로 자리매김하다 장수군 에서도 "말 산업 클러스터의 중심도시로서 소백산맥의 고원에 위치한 장수군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며 “승마레저타운과 함께 뜬봉샘 생태공원, 동화댐 물테마공원 조성이 이뤄지면 인근도시뿐 아니라 서울 등 수도권의 가족단위 여행객들이 대거 몰려드는 종합생태관광지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 이라고 기대했다. 다양한 관광지를 가족과 함께 임진왜란 때 왜장을 껴안고 진주 남강에 투신 한 논개의 고장인 장수는 그를 기린 사당과 탄생지가 잘 정비돼 있다. 조선 태종 때 세워져 원형 그대로 보존 된 장수향교와 타루비도 유명하다. 천천면의 와룡휴양림에선 산림속의 야영을 즐길 수 있으며, 장수 남쪽의 동화댐, 방화동 휴가촌 등도 여름엔 야영객들이 붐빈다. 매년 10월 열리는 논개축제 때 는 논개 선발대회, 사과 따먹기, 메뚜기잡기 등의 체험행사가 열리며, 산골축제(5월), 도깨비축제(8월) 등도 열린다.

마이산도립공원

소개 마이산도립공원은 국내 유일의 역암산으로, 정상의 두 봉우리가 마치 말의 귀처럼 솟아 있어 마이산이라 불린다. 약 1억년 전 형성된 역암층으로 이루어진 이 산은 지질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연유산이다. 전북 진안군에 위치한 도립공원으로, 백악기 역암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갈과 모래가 굳어진 퇴적암이다. 오랜 세월 풍화와 침식을 거쳐 현재의 독특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특징 말의 귀를 닮은 두 봉우리는 암마이봉 686m와 수마이봉 681m로 구성되어 있다. 80여 개의 돌탑이 있는 탑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갑룡 처사가 30년간 쌓아올린 신비로운 돌탑이다. 태조 이성계가 조선 건국 전 100일 기도를 올린 은수사는 역사적 의미가 깊은 사찰이다. 겨울철 물이 위로 얼어올라가는 역고드름 현상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신비한 자연 현상이다. 한국관광 100선 선정 2025-2026 한국관광 100선에 진안 마이산이 선정되었다. 이는 진안군의 대표 관광지로서 마이산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이산은 독특한 지질 구조와 역사적 가치, 그리고 사계절 아름다운 경관으로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탑사의 돌탑과 은수사의 역사적 의미, 그리고 역고드름 같은 자연 현상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산묘 마이산 도립공원 입구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이산묘(尼山廟,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는 특별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사당이다. 단군 성조를 비롯해 조선 태조 이성계, 세종, 고종 등 역대 임금 네 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1907년 일제의 강압에 분노한 유생과 백성들이 마이산에 모여 정재 이석용 의병장 주도로 호남의병 창의동맹단을 결성했다. 이때 결집한 인원은 1,000여 명에 달했으며, 호남 지방 최초로 조직적인 항일 의병 봉화를 올린 역사적 장소이다. 탑사 마이산의 가장 상징적인 장소는 탑사이다. 암마이봉과 수마이봉 아래 80여 개의 돌탑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다. 이 돌탑들은 구한말 이갑룡 처사가 약 30년 동안 나라의 평안과 구국의 일념으로 쌓아 올린 것으로, 삼국지의 '팔진도법'에 따라 배치되었다. 탑의 높이는 최고 15m에 달하며, 태풍에도 무너지지 않는 신비로움을 간직하고 있다. 은수사 은수사는 태조 이성계의 염원이 가장 깊게 배어있는 곳이다. 이성계가 조선 건국 전 이곳에서 100일간 기도를 올리며 왕조의 꿈을 꾸었다고 전해지는 유서 깊은 사찰이다. 천연기념물 청실배나무 (천연기념물 제386호): 수령 650년, 이성계가 씨앗을 심은 것이 자란 것으로 전해진다. 줄사철나무 군락 (천연기념물 제380호): 은수사 경내 172㎡ 면적에 20여 그루가 자생하고 있다. 주요 전각 태극전: 몽금척도와 단군 영정을 봉안하고 있다. 역고드름 겨울철 물이 위로 얼어올라가는 현상으로 천연기념물 제373호로 지정되어 있다. 관찰 시기: 1월 중순~2월 초순 위치: 은수사 주변 등산코스 남부 코스 남부주차장 → 탑사 → 은수사: 약 1.5시간 은수사 → 암마이봉 정상: 약 1시간 북부 코스 북부주차장 → 금당사 → 수마이봉: 약 2시간 산책 코스 이산묘 → 탑영제 → 탑사 → 은수사: 약 2시간 난이도: 중급 계절별 볼거리 봄 벚꽃 터널과 진달래가 만개하여 화사한 경관을 연출한다. 여름 울창한 숲과 시원한 계곡이 피서지로 적합하다. 가을 암마이봉과 수마이봉 주변의 붉은 단풍과 억새가 장관을 이룬다. 전북 가을 감성 여행지로 추천된다. 겨울 역고드름 현상과 설경이 신비로운 풍경을 만든다. 주요 관광지 1. 탑사: 80여 개의 신비한 돌탑 2. 은수사: 태조 이성계가 기도했던 사찰 3. 이산묘: 단군, 태조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 4. 탑영제: 드라마 '내 딸 서영이', '남자가 사랑할 때' 촬영지 5. 금당사: 백제시대 사찰 주변 관광지 운일암반일암, 진안 홍삼스파, 마이산 생태숲, 진안고원길 등이 인근에 위치해 있다. 출처 1. https://jinan.go.kr/tour | 진안군 문화관광 출처 2. https://blog.naver.com/jinan-gun/223735811382 | 진안군 공식 블로그 출처 3. https://blog.naver.com/jbgokr/224066598545 | 전북 공식 블로그 출처 4.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c0a41ba5-a6eb-4962-a008-0d3342edaf8c | 대한민국 구석구석

춘향테마파크

사랑의 테마가 있는 관광지로 조성한 곳!    남원시 어현동 남원관광지내에 소재한 곳(3만 5천평 규모)으로 임권택 감독의 영화 [춘향뎐]의 촬영 장소를 포함하여 사랑의 테마가 있는 관광지로 조성한 곳이다. [춘향뎐]의 지고지순한 사랑을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의 마음속에 담아내 과거의 사랑과 이제 사랑을 시작하는 이들이 사랑의 추억을 만들 수 있도록 조성돼 있고 만남의 장, 맹약의 장, 춘향뎐 영화세트장, 축제의 장 등 사랑의 5개 마당으로 춘향테마의 일대기를 재현하고 있다. 또한 철저한 고증을 거쳐 완성된 동헌, 관아, 내아, 월매집, 부용당, 옥사정을 비롯해 조선 중기 서민들의 삶이 깃든 고건물들이 들어서 있어 조선 중기 서민문화와 춘향의 삶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만남의 장 전통의 미와 현대적 편의 시설로 맞이하는 진입부인 만남의 장에는 테마파크 종합안내와 바닥조명분수, 춘향마당, 종합상품관, 전통문화체험관 등이 있다.   맹약의 장 테마파크를 방문한 모든 관광객의 안녕과 사랑을 맹약하는 사랑의 담장, 맹약의 단, 그네터 등이 있다.   사랑, 이별의 장 춘향의 고난과 순결한 사랑의 완성을 전개해 놓은 곳으로 조선 중기의 동헌을 복원해 놓았으며 춘향뎐의 주요장면이 미니어쳐와 실제 크기로 재현되어 있으며 임권택감독의 춘향뎐 촬영 세트장, 춘향과 몽룡이 첫날밤을 보낸 부용당과 월매집, 공방, 관광객이 직접 붓글씨를 쓸 수 있는 글방 등이 있다.   시련의 장 춘향의 가슴 아픈 이별과 옥중 생활을 재현한 옥사정과 관아 형태가 복원되어 있다.   축제의 장 축제 행사의 장, 단체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휴게 광장과 야외 공연장이 조성된 공간이다. 

남원항공우주천문대

주망원경은 성운, 성단, 은하 등의 천체까지 관측가능! 남원항공우주천문대는 2006년 과학기술부 지방천문과학관 지원 사업으로 선정되어 사업비 46억원에 부지면적 6,532㎡, 지상3층 규모로, 우주항공의 발자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실과 항공기 비행 체험을 위한 공간인 항공체험관, 10m 크기의 돔 스크린에 밤하늘과 전천영상을 볼 수 있는 천체 투영실이 있다. 또 남원의 밤하늘을 관측할 수 있는 600mm 규모의 주망원경과 350mm - 125mm까지의 다양한 구경과 다양한 방식의 망원경을 구비한 보조관측실이 있다. 특히, 주관측실의 600mm 규모의 주망원경은 약 15.7등급까지 수십 만개의 별을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성운, 성단, 은하 등의 천체까지 관측이 가능하다. 실외에는 1970년대 우리나라 공군의 주력기이었던 팬텀기를 비롯한 다양한 전투기가 전시됐다. 남원우주항공천문대는 그 특성상 박물관 또는 전시관과 같이 대단위 인원이 자유롭게 둘러보는 방식이 아닌 실별로 인원을 나눠서 관람하는 시설로 꾸며져 있으며, 태양과 천체관측 4D 영상관람, 가상항공체험, 천문강연 등의 프로그램을 교대로 운영하며 1회 최대 12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여름방학 캠프를 비롯하여 하반기 현장체험 학습과 다채로운 과학체험교실을 운영, 관람객 유치와 함께 지방과학문화를 선도하는 중추적인 과학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주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이란 예향 전주의 풍류를 한 눈에 느낄 수 있는 풍남동,교동일대의 한옥가옥촌이다. 전통한옥 700여채를 비롯 전주전통문화센터,전주한옥생활체험관,전주전통술박물관,전주전통공예품전시관 및 명품관,경기전,풍남문,오목대 등이 이웃에 있으며, 선조들의 숨결을 생생히 느낄 수 있는 곳이다. 한옥마을의 유래 을사늑약(1905년)이후 대거 전주에 들어오게 된 일본인들이 처음 거주하게 된 곳은 서문 밖, 지금의 다가동 근처의 전주천변이었다. 서문 밖은 주로 천민이나 상인들의 거주지역으로 당시 성안과 성밖은 엄연한 신분의 차이가 있었다. 성곽은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존재했던 것이다. 양곡수송을 위해 전군가도(全郡街道)가 개설(1907년)되면서 성곽의 서반부가 강제 철거 되었고, 1911년말 성곽 동반부가 남문을 제외하고 모두 철거됨으로써 전주부성의 자취는 사라졌다. 이는 일본인들에게 성안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으며, 실제로 서문 근처에서 행상을 하던 일본인들이 다가동과 중앙동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이후 1934년까지 3차에 걸친 시구개정(市區改正)에 의하여 전주의 거리가 격자화되고 상권이 형성되면서, 서문일대에서만 번성하던 일본 상인들이 전주 최대의 상권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1945년까지 지속되었다. 1930년을 전후로 일본인들의 세력확장에 대한 반발로 한국인들은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한옥촌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는 일본인 주택에 대한 대립의식과 민족적 자긍심의 발로였다. 1930년대에 형성된 교동, 풍남동의 한옥군은 일본식과 대조되고 화산동의 양풍(洋風) 선교사촌과 학교, 교회당 등과 어울려 기묘한 도시색을 연출하게 되었다. 오목대에서 바라보면 팔작지붕의 휘영청 늘어진 곡선의 용마루가 즐비한 명물이 바로 교동, 풍남동의 한옥마을인 것이다. 주요행사 매주 차없는 거리운영 공예품 전시판매, 문화행사 개최 한국전통문화아카데미 운영 및 체험학교 운영 외국인대학생 학점이수제, 원어민교사 한국문화체험, 주한미군한국 전통체험, 다문화가정 한국문화이해, 재외동포한국문화체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