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부안,전주,김제] 변산반도와 한옥마을에서 진짜 한국에 美쳤다

코스 중 채석강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석불산 영상랜드(불멸의 이순신 촬영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한옥마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청운사 하소백련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채석강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석불산 영상랜드(불멸의 이순신 촬영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한옥마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청운사 하소백련지의 대표 이미지
연관태그
서부권 1박2일 여름 바다 체험 가족 관람 체험
여행후기
☆☆☆☆☆ (0)건
코스소개
  • 채석강
  • 석불산 영상랜드(불멸의 이순신 촬영지)
  • 전주한옥마을
  • 청운사 하소백련지

부안 채석강→석불산 영상랜드(불멸의 이순신 촬영지) →전주 한옥마을 → 김제 하소백련지


채석강

국내 가고싶은 여행지 채석강 전북에 위치한 채석강은 국내에서 꼭 방문해 보고 싶은 여행지로 손꼽히는 명소이다. 채석강은 변산반도 서쪽 끝에 자리한 격포항과 그 인근 닭이봉(200m) 일대에 펼쳐진 층암 절벽과 푸른 바다를 아우르는 자연의 경이로움을 담고 있다. 이곳은 기암괴석과 마치 수천, 수만 권의 책이 차곡차곡 쌓인 듯한 퇴적암층 단애가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며, 그 형태가 중국의 **채석강(彩石江)**과 닮아 이름이 붙여진 곳이다. 채석강 주변 명소 채석강은 수만 권의 책을 쌓아놓은 듯한 인상을 주는 퇴적층으로 이루어진 석회암 바위들이 만들어낸 해안 절벽이 장관을 이루는 곳이다. 전북 서해안에 위치한 이곳은 자연 경관이 뛰어나며, 그 아름다움 덕분에 사진 촬영이나 영화 촬영이 자주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채석강은 하루 두 차례 물이 빠지는 간조 때에만 들어갈 수 있으며, 이때 물 빠진 퇴적암층에 밀착된 바다 생물들과 해식 동굴의 신비로운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간조 때 해식동굴에서 바라보는 낙조와 노을은 그 아름다움이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채석강 해안에는 산책을 즐길 수 있는 탐방로가 잘 조성되어 있어, 이곳의 독특한 분위기를 만끽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깎아지른 절벽과 기암괴석 사이를 거닐며 자연의 위대함을 깊이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석불산 영상랜드(불멸의 이순신 촬영지)

일본인들이 사는 왜관거리재현    석불산 영상랜드는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하서면 청호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라 좌수영세트장, 부안 영상테마파크와 함께 영상특구 중 하나로써 2004년 KBS방영된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촬영지로 드라마 중 일본인들이 사는 왜관거리, 한산통제영을 촬영한 곳이다. 이 일본인 거리는 부산포에 있던 일본인 거리를 토대로 해서 만들어 진 것으로 단순히 드라마 세트라기보다는 당시 일본 문화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곳이다. 2005년에는 일본의 유명 관광지인 오사카성을 건립하여 영상소품 전시관으로 활용하고 있다.   다양한 관광명소로 거듭나고   또한, 2006년에는 영상랜드를 주변으로 둘러싸고 있는 석불산에 등산로, 산책로, 산림욕장 등 웰빙 공간을 조성하여 다양한 관광명소로 거듭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주변에는 임진왜란 때 선조임금을 의주까지 호위한 고희장군의 사당과 이괄의 난과 병자호란 때 공을 세워 공신록에 오른 그의 아들 영원군 고홍건의 사적과 유물관이 있다. 석불산의 정상에서 굽어보는 서해바다의 노을과 간척지의 풍요로운 들녘이 한눈에 보인다.

전주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이란 예향 전주의 풍류를 한 눈에 느낄 수 있는 풍남동,교동일대의 한옥가옥촌이다. 전통한옥 700여채를 비롯 전주전통문화센터,전주한옥생활체험관,전주전통술박물관,전주전통공예품전시관 및 명품관,경기전,풍남문,오목대 등이 이웃에 있으며, 선조들의 숨결을 생생히 느낄 수 있는 곳이다. [한옥마을의 유래] 을사늑약(1905년)이후 대거 전주에 들어오게 된 일본인들이 처음 거주하게 된 곳은 서문 밖, 지금의 다가동 근처의 전주천변이었다. 서문 밖은 주로 천민이나 상인들의 거주지역으로 당시 성안과 성밖은 엄연한 신분의 차이가 있었다. 성곽은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존재했던 것이다. 양곡수송을 위해 전군가도(全郡街道)가 개설(1907년)되면서 성곽의 서반부가 강제 철거 되었고, 1911년말 성곽 동반부가 남문을 제외하고 모두 철거됨으로써 전주부성의 자취는 사라졌다. 이는 일본인들에게 성안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으며, 실제로 서문 근처에서 행상을 하던 일본인들이 다가동과 중앙동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이후 1934년까지 3차에 걸친 시구개정(市區改正)에 의하여 전주의 거리가 격자화되고 상권이 형성되면서, 서문일대에서만 번성하던 일본 상인들이 전주 최대의 상권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1945년까지 지속되었다. 1930년을 전후로 일본인들의 세력확장에 대한 반발로 한국인들은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한옥촌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는 일본인 주택에 대한 대립의식과 민족적 자긍심의 발로였다. 1930년대에 형성된 교동, 풍남동의 한옥군은 일본식과 대조되고 화산동의 양풍(洋風) 선교사촌과 학교, 교회당 등과 어울려 기묘한 도시색을 연출하게 되었다. 오목대에서 바라보면 팔작지붕의 휘영청 늘어진 곡선의 용마루가 즐비한 명물이 바로 교동, 풍남동의 한옥마을인 것이다. [주요행사] 매주 차없는 거리운영 공예품 전시판매, 문화행사 개최 한국전통문화아카데미 운영 및 체험학교 운영 외국인대학생 학점이수제, 원어민교사 한국문화체험, 주한미군한국 전통체험, 다문화가정 한국문화이해, 재외동포한국문화체험 등

청운사 하소백련지

먼저 이곳 김제 청하에 위치한 2만여평의 백련(白蓮) 재배지는 새우가 알을 품고 있는 모양의 곳에 백련지(白蓮池)들이 위치 하였다하여 하소백련지(蝦沼白蓮池)라고 한다. 백련지 안에는 새우의 머리에 해당하는 위쪽으로는 조선말엽 고승 한분이 충청도 계룡산에서 바라보니 서광이 비치는 곳이 있었는데 바로 김제 평야의 모서리에 있는 청하면 대청리에 있는 청하산이 있어 여기에 사찰을 짓고 불제자가 되어 중생들을 극락에 인도하기로 마음먹고 건립했다는 전통사찰인 청운사가 있다. 간단히 청운사에 대해 설명을 하면 청하산 자락에 있는 청운사는 1927년 4월 한주석 스님이 다시 창건하고 1931년에 인당(仁堂)스님이 중창하였으며 1938년에 백운(白雲)스님이 보살과 함께 관음보살을 완성하였으며, 조실 벽운스님의 부친 월인당 거사가 관리해 오다가 1948년 부임한 벽운화상이 중창했는데 1968년 연불전을 비롯하여 1970년에는 옛 만경 동헌을(400년건물) 매입.증축하여 대웅전(大雄殿)으로 쓰고 있는데 문화재급 유물로 보존하고 있는 곳이다. 머리 밑 모통이부분으로 백련지 2만여평과 야생화밭, 100여종에 각종연들을 전시해놓은 미니연지, 수련지가 펼쳐져 있어 주변경관과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어, 전국에 있는 사진 작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또한 백련지안에는 백련을 이용한 백련음식전문점 “수자타”가 백련이 피는 6월이면 하소백련축제시작과 동시 가게문을 열어 백련이 지는 9월초순까지 운영이 되어서 이 기간에 이곳에 오시게 되면 여러 가지 백련음식을 이용한 다양한 먹거리(백련자반, 백련잣죽, 백련부침, 백련동동주, 백련칼국수, 백련국수, 백련순대, 백련무침, 백련수육, 백련두부등)들을 드실수가 있으며, 오랜시간과 노력끝에 백련을 이용한 차와 식품을 만드는 생산 시설이 설립이 되어 있다. 하소백련지 백련은 다른 곳에 있는 백련과는 달리 순수하게 청백색만을 나타내는 백련으로써 전국 최고의 백련재배단지로 손꼽히고 있다. 백련은 (동의보감이나 각종자료인용한것) 독성이 없으며 다른 연에 비할 수 없는 향과 맛을 자랑하고 있다. 이곳 하소백련지는 다랭이 논과 같이 위에서부터 계단식으로 펼쳐져 있으며, 작게 나누어져있어 주변뚝을 돌며 여유로이 백련의 향과 자태를 오감으로 직접느낄수 있는게 이곳만의 특징이다. 또한 모든 백련재배는 친환경 유기농법으로 재배가 이루어 지고 있다. (백련은 농약을 하면 말라 죽게 된다) 백련은 6월말부터 ~ 8월까지 늦게는 9월초까지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며, 가장 절정인 시기는 7월 10일경부터 ~ 8월초순까지이다. 잠시나마 매연과 메마름에 도심을 떠나 이곳 하소백련지에 오게 되면 기분좋은 백련의 향이 과도한 스트레스로 피로해진 우리들에 마음과 몸에 신선한 기운을 북돋아 줄 것이다. (실제로 대학 연구팀과 성분분석결과 백련의 향은 신경안정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와 있다.) 출처 김제시 문화관광
여행해결사 '1330 관광통역안내'

내·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국내여행 정보를 안내하는 전화상담 및 실시간 문자채팅 서비스

* 한국관광공사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