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진안,장수,무주,전주,익산,군산] 자연과 전통가옥의 체험

코스 중 마이산도립공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의암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의암주논개생가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장수향교대성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덕유산 국립공원 향적봉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한지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익산 미륵사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보석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군산근대역사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마이산도립공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의암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의암주논개생가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장수향교대성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덕유산 국립공원 향적봉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한지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익산 미륵사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보석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군산근대역사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연관태그
2박3일 체험형 테마코스 체험 학습 동부권
여행후기
☆☆☆☆☆ (0)건
코스소개
  • 마이산도립공원
  • 의암사
  • 의암주논개생가지
  • 장수향교대성전
  • 덕유산 국립공원 향적봉
  • 전주한지박물관
  • 익산 미륵사지
  • 보석박물관
  •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수학여행코스

○ 1일
학교출발 → 진안 마이산 관람 → 중식 → 장수향교, 논개사당, 논개생가지 관람 → 숙소(무주) → 석식 → 반디랜드 천체관측 체험 → 자유시간 취침
○ 2일
기상 → 조식 → 덕유산 향적봉(곤돌라) → 중식 → 전주 한옥마을 관람 → 전주 한지박물관 관람 → 숙소 (전주 또는 익산)→  석식 → 학교 자체 프로그램 운영 또는 자유시간 → 취침
○ 3일
A코스 : 기상 → 조식 → 익산 미륵사지 관람 → 보석박물관 관람 → 중식 → 학교 이동
B코스 : 기상 → 조식 → 군산근대역사유적지(역사박물관.일본인가옥.동국사) 관람 → 중식 → 학교 이동

코스소개

군산·진안·장수·무주·전주·익산을 돌며 청정한 역사문화의 고장을 한눈에 훑어보는 알토란같은 여정이다.
국태민안의 마음으로 탑을 쌓은 이갑룡과 자신의 목숨을 바쳐 왜적에 대항한 논개·정경손 등의 일화를 통해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쌓고,
안도현 시인이 ‘무주 진안 장수/눈 온다//무진장 온다’고 석 줄로 말한 오지(奧地)의대명사 ‘무진장’의 맑은 기운을 담을 수있다.
전주와 익산의 백제문화 탐색은 덤이다.

마이산도립공원

옛날 부부신이 하늘에서 내려와 자식을 낳고 살다가 하늘로 올라가지 못해 산이 되어버린 애절한 쌍둥이 산 숫마이산과 암마이산-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과 마령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노령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걸쳐 약 10~20㎞의 서남방향으로 고원을 이루는 진안고원 상에 자리 잡고 있다. 마이산은 두 개의 큰 산봉우리로 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봉우리 두 개가 높이 솟아 있기 때문에 용출봉이라 하였고 동쪽을 아버지, 서쪽을 어머니라 하였으며, 신라 시대에는 서다산(西多山)이라 불렀으나 조선 시대 태종이 남행(南幸)하여 그 모양이 말의 귀와 같다 하여 마이산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지금은 속칭으로 동쪽을 수마이산(687.4m), 서쪽을 암마이산(681.1m)이라고도 한다. 마이산의 명물 탑 군들- 이 산 일대의 자연경관과 사찰들을 중심으로 1979년에 전북특별자치도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깎아지른 듯한 수마이봉 기슭의 숲속에 은수사(銀水寺)라는 절이 있고 그 밑에 또 다른 명물인 탑사(塔寺)가 있다. 또한 2003년 10월에 산태극, 수태극의 중심지로서 국가지정 명승 제12호로 지정되었다.이곳은 약 120여 년 전 이 갑룡(李甲龍) 이 30년동안 쌓아 올린 100여개의 탑들이 막돌 허튼 쌓기로 음과 양의 이치와 기공법, 팔진도법으로 쌓은 돌탑인 마이산으로 이루어진 불규칙한 자연석을 모아 원추형 혹은 기둥 모양으로 쌓은 것이다.

덕유산 국립공원 향적봉

덕유산의 주산, 덕유산에서 가장 높은 향적봉은 해발 1,614m로 특히 겨울에 눈내린 풍경이 유명하다. 향적봉에 오르면 적상산, 마이산, 가야산, 지리산, 계룡산, 무등산 등의 산세가 아름답게 펼쳐져 있고, 운해와 일출이 아주 아름답다.  향적봉까지 가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첫번째는 덕유산리조트에서 관광곤돌라를 타고 1,520m인 설천봉으로 가서 설천봉에서부터 걸어서 약 20분 정도 가는것으로 편안하게 겨울 풍경을 즐기고 싶을때 알맞다.  또 다른 방법은 구천동 탐방지원센터에서부터 등산로를 이용해 향적봉 정상으로 가는것으로 5~6시간정도 소요되어 평소에 등산을 즐기시는 분께 추천한다.  설경이 아름다운데다 산세가 험하지 않아 인기가 많지만, 겨울엔 눈이 남아있어 위험하기 때문에 등산화나 아이젠을 쓰는것이 좋다.  향적봉 정산에는 등산객을 위한 산장과 우물이 있고, 주변에는 철따라 진달래, 원추리등이 피어난다. 이 우물이 흘러 구천동 33경의 계곡이 된다.    ◎덕유산의 대표적인 산행 코스 1) 정상 코스 : 단지→백련사→정상(향적봉)→백련사→단지 (17.km, 6시간30분) 2) 남덕유 코스 : 단지→정상→동엽령→남덕유→영각사→(28.5km, 14시간) 3) 칠봉 코스 : 단지→칠봉→정상→단지 (18.0km, 7시간30분) 4) 적상산 코스 : 내북창→안국사 →서창 (7km, 3시간40분) 5) 칠연폭포코스: 단지→백련사→정상→칠연폭포→안성(16.km, 5시간30분) 입산통제 산불예방을 위해 개방등산로 외 전지역 통제기간 - 매년 춘계 2.15~5.15, 매년 추계 11.15 ~12.15 * 자세한 사항 홈페이지 참고

익산 미륵사지

3탑3금당 동양최대의 사찰!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위치하는 미륵사지는 백제 최대의 사찰로 30대 무왕(600~641년)에 의해 창건되었고, 17세기경에 폐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륵사지가 발굴되기 이전에는 백제 창건당시에 세워진 미륵사지 서탑(국보 11호) 1기, 그리고 석탑의 북쪽과 동북쪽 건물들의 주춧돌과 통일신라시대에 사찰의 정면 양쪽에 세워진 당간지주 1쌍(보물 236호)이 남아 있을 뿐이었다. 미륵사지에 대한 조사연구는 일본인들이 1910년 고적조사를 개시로 남아있는 석탑과 관련, 부분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品’자형 가람배치를 갖는 것으로 주장되기도 하였다. 그 후 1974년과 1975년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에서는 동쪽에 남아있는 탑 자리가 목조탑인지 석조탑인지 밝히기 위하여 동탑지 부근을 발굴 조사하여 서탑과 같은 규모의 석탑지임을 확인하였다. 1980년에 들어서 문화재 연구소에서는 백제 문화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당시 최대 규모의 사찰인 미륵사지를 정비하고 보호하여 이를 사회교육도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발굴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종합적인 발굴조사 결과 일본인들이 주장한 ‘品’자형의 가람배치는 맞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가람배치에 의하면 동탑과 서탑이 있고, 그 중간에 목탑이 있으며, 각 탑의 북편에 금당(金堂=법당)의 성격을 지닌 건물이 하나씩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들 탑과 금당을 한 단위로 구분하는 회랑이 있어 동쪽은 동원(東院), 서쪽은 서원(西院), 중앙은 중원(中院)이라는 개념의 삼원 병립식 가람형태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중원의 북측에 거대한 강당(講堂) 하나만을 두고 공동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여기에서 ‘가람’이란 승가라마(僧伽藍摩)의 준말로 범어(梵語)의 Sngharama에서 유래 된 것으로 여러 승려들이 한군데 모여 살면서 불도를 닦는 것을 뜻하였으나, 후세에 와서는 절에 속한 집을 말하는 것으로 의미가 축소되었다. 아무튼 이러한 가람배치는 동양가람배치연구에서는 밝혀진 바가 없는 전혀 새로운 형식의 특수한 형태이다. 미륵사지의 발굴 미륵사지의 발굴은 1980년에서부터 1995년까지 15년간 실시되어 20,000여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막새기와류와 기와의 등에 문자를 새긴 명문와, 토기류 그리고 자기류가 거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건물의 서까래 끝에 붙이는 녹유 연꽃무늬서까래 기와는 백제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상당수가 출토되었다. 그리고, 이밖에 그 수는 많지 않지만 금속제품, 목제품, 벽화편, 토제편, 유리 및 옥제품, 석제품 등도 수습되어 종류 면에서 비교적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륵사는 신라의 침략을 불교의 힘으로 막기 위한 호국 사찰로써 성격을 띠고 세워졌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미륵사는 백제가 망할 때 까지 왕실 사찰로 혹은 호국 사찰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았던 사찰이었다.  

보석박물관

익산의 자랑, 보석박물관 예로부터 익산은 보석으로 유명한 곳이다. 이러한 익산의 지역적 특색을 살려 설립된 것이 바로 보석박물관이다. 익산 보석박물관은 백제 문화유적과 보석의 아름다움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14만 1,990㎡ 규모의 왕궁보석 테마관광지내에 건립되었으며, 진귀한 보석 원석 등을 11만여 점 이상 소장하고 있는 세계적 수준의 박물관이다. 또한 지질시대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화석전시관에는 시대별 각종 화석과 익룡, 수장룡, 실물크기의 골격공룡 등을 전시하여 청소년들에게 상상의 세계를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하1층, 지상2층 규모의 보석박물관은 보석박물관과 화석전시관, 체험관 등으로 구성되며 해당 구역의 구성은 각각 보석박물관 6,214㎡, 화석전시관 932㎡, 체험관 574㎡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에는 수장고와 기계실이 있으며 1층에는 기획전시실과 보석판매코너, 2층 상설전시실에는 진귀한 보석과 원석을 전시하고 있다. 그 밖에도 식당, 보석광장, 야외무대, 칠선녀상 등 조형물들을 설치하여 보석박물관을 찾는 관람객에게 편안한 휴게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보석박물관의 체험 프로그램! 보석박물관에서는 주말에 방문하는 관람객에게 귀금속 보석에 관련된 체험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운영기간은 동절기를 제외한 3월부터 11월까지이며, 익산보석박물관 2층 아트갤러리에서 진행된다. 체험프로그램을 통해 칠보공예기법을 응용한 은 액세서리 장신구 만들기인 칠보공예와 보석물리기(핸드폰줄, 목걸이), 은반지 등을 만들 수 있는 나만의 보석 만들기가 진행된다. 체험 비용은 무료이며, 참가하고자 하는 사람은 재료비(5,000~10,000원)만 부담하면 된다.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소개 근대역사의 중심 도시 군산의 근대문화 및 해양문화를 주제로 하는 특화박물관이자 지역박물관으로서 방문객들이 군산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부지2,525평(8,348㎡) 연면적1,285평(4,248㎡)이고, 지하1층 지상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업비 182억이 소요되었으며 사업 기간은 2007년 시작하여 2011년 9월에 개관하였다. 본관은 ‘국제무역항 군산의 과거, 현재, 미래’라는 컨셉으로 선사시대부터 근대시대까지의 유물과 자료를 통하여 물류유통의 중심지였던 군산의 과거를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현재와 미래를 통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제를 전하고자 전시내용은 군산의 역사를 조명한 ‘삶과 문화 코너’, 지리적 중요성으로 물류유통의 항구 기능을 확인하는 ‘해양유통코너’, 군산 및 고군산의 문화와 역사를 조명하는 ‘바다와 문화코너’, 군산인근의 해저발굴유물을 소개하는 코너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시설안내 1층 - 해양물류역사관(509㎡), 어린이체험관(126㎡), 수장고(113㎡), 기증전시실(69㎡) 2층 - 근대자료규장각실(84㎡), 시민열린갤러리(160.65㎡) 3층 - 근대생활관(617㎡), 기획전시실(231㎡) 관람시간 관람시간 구분 시간 하절기 (3 ~ 10월) 09:00 ~ 18:00 (입장 종료시간: 17:30) 동절기 (11월 ~ 이듬해 2월) 09:00 ~ 17:00 (입장 종료시간: 16:30) 휴관일 1월 1일, 매주 월요일, 시장이 휴관일로 정한 날 통합권요금 통합권 요금 구분 나이 박물관 통합권(박물관+미술관+건축관+위봉함) 금강권 통합권(박물관4개소+금강권3개소*) 개인 단체 개인 단체 성인 (군산시민) 1960년~2005년생 3,000(2,000) 2,000(1,000) 5,000(3,000) 3,000(2,000) 청소년, 군인 (군산시민) 2006년~2011년생 2,000(1,000) 1,000(500) 4,000(2,000) 2,000(1,000) 어린이 (군산시민) 2012년~2017년생 1,000(500) 500(400) 3,000(1,000) 1,000(500) * 금강권 3개소: 채만식문학관, 3.1운동100주년기념관, 금강미래체험관 개별권요금 통합권 요금 구분 박물관/금강미래체험관 위봉함 건축관/미술관/3.1운동기념관/채만식문학관 일제강점기 군산역사관 개인 단체 개인 단체 개인 단체 개인 단체 성인 (군산시민) 2,000 (1,000) 1,000(500) 1,000(500) 700(300) 500(500) 300(300) 1,000(500) 700(300) 청소년, 군인 (군산시민) 1,000(500) 700 (300) 700 (300) 400(200) 300(300) 200(200) 700(300) 400(200) 어린이 (군산시민) 500(300) 300(200) 300(200) 200(100) 200(200) 100(100) 500(200) 300(100)
여행해결사 '1330 관광통역안내'

내·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국내여행 정보를 안내하는 전화상담 및 실시간 문자채팅 서비스

* 한국관광공사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