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전주,임실,순창] 삼색빛 체험여행

코스 중 전주한옥마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임실치즈테마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강천산군립공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순창고추장익는마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순창장류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한옥마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임실치즈테마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강천산군립공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순창고추장익는마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순창장류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연관태그
1박2일 가을 체험 휴양지 중부권 가족 연인 친구 나홀로 체험 휴식
여행후기
☆☆☆☆☆ (0)건
코스소개
  • 전주한옥마을
  • 임실치즈테마파크
  • 강천산군립공원
  • 순창고추장익는마을
  • 순창장류박물관

[1일] 전주 한옥마을 → 점심식사 → 임실테마파크 관람 및 치즈체험 → 저녁식사 → 순창으로 이동 → 숙박
[2일] 강천산 구름다리&병풍폭포 트레킹 → 점심식사 → 순창고추장민속마을 구경 및 고추장 체험 → 장류박물관 관람


전주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이란 예향 전주의 풍류를 한 눈에 느낄 수 있는 풍남동,교동일대의 한옥가옥촌이다. 전통한옥 700여채를 비롯 전주전통문화센터,전주한옥생활체험관,전주전통술박물관,전주전통공예품전시관 및 명품관,경기전,풍남문,오목대 등이 이웃에 있으며, 선조들의 숨결을 생생히 느낄 수 있는 곳이다. [한옥마을의 유래] 을사늑약(1905년)이후 대거 전주에 들어오게 된 일본인들이 처음 거주하게 된 곳은 서문 밖, 지금의 다가동 근처의 전주천변이었다. 서문 밖은 주로 천민이나 상인들의 거주지역으로 당시 성안과 성밖은 엄연한 신분의 차이가 있었다. 성곽은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존재했던 것이다. 양곡수송을 위해 전군가도(全郡街道)가 개설(1907년)되면서 성곽의 서반부가 강제 철거 되었고, 1911년말 성곽 동반부가 남문을 제외하고 모두 철거됨으로써 전주부성의 자취는 사라졌다. 이는 일본인들에게 성안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으며, 실제로 서문 근처에서 행상을 하던 일본인들이 다가동과 중앙동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이후 1934년까지 3차에 걸친 시구개정(市區改正)에 의하여 전주의 거리가 격자화되고 상권이 형성되면서, 서문일대에서만 번성하던 일본 상인들이 전주 최대의 상권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1945년까지 지속되었다. 1930년을 전후로 일본인들의 세력확장에 대한 반발로 한국인들은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한옥촌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는 일본인 주택에 대한 대립의식과 민족적 자긍심의 발로였다. 1930년대에 형성된 교동, 풍남동의 한옥군은 일본식과 대조되고 화산동의 양풍(洋風) 선교사촌과 학교, 교회당 등과 어울려 기묘한 도시색을 연출하게 되었다. 오목대에서 바라보면 팔작지붕의 휘영청 늘어진 곡선의 용마루가 즐비한 명물이 바로 교동, 풍남동의 한옥마을인 것이다. [주요행사] 매주 차없는 거리운영 공예품 전시판매, 문화행사 개최 한국전통문화아카데미 운영 및 체험학교 운영 외국인대학생 학점이수제, 원어민교사 한국문화체험, 주한미군한국 전통체험, 다문화가정 한국문화이해, 재외동포한국문화체험 등
여행해결사 '1330 관광통역안내'

내·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국내여행 정보를 안내하는 전화상담 및 실시간 문자채팅 서비스

* 한국관광공사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