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군산] 짧고 굵게 꼭 가야할 명소만 간다!

코스 중 전주 동물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덕진공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팔복예술공장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한옥마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 한옥마을 야시장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남부시장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고군산군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선유도해수욕장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군산근대역사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초원사진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 동물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덕진공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팔복예술공장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한옥마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전주 한옥마을 야시장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남부시장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고군산군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선유도해수욕장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군산근대역사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초원사진관의 대표 이미지
연관태그
1박2일 여름 가을 겨울 바다 휴양지 가족 연인 친구 나홀로 관람 휴식 중부권
여행후기
☆☆☆☆☆ (0)건
코스소개
  • 전주 동물원
  • 덕진공원
  • 팔복예술공장
  • 전주한옥마을
  • 전주 한옥마을 야시장
  • 남부시장
  • 고군산군도
  • 선유도해수욕장
  • 군산근대역사박물관
  • 초원사진관
[1일] 전주 동물원 → 덕진공원 → 한국도로공사수목원 → 팔복예술공장 → 전주한옥마을 → 전주 한옥마을 야시장 → (숙박)
[2일] 남부시장 → 고군산군도 → 선유도 해수욕장 → 군산근대역사박물관 → 초원사진관

전주 동물원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한 생태동물원 전주동물원은 도심 속 푸른 쉼터로 언제든 관람이 가능하도록 연중무휴로 운영되고 있다. 사람들에게 동물의 모습을 보여주기만 하는 게 아니라 시설 개선 및 행동풍부화 프로그램을 통해 시설을 꾸준히 개선해나가며 현재까지 40여 년 이상을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한 자연 속 생태동물원의 역할을 해나가고 있다. 포유류, 어류, 파충류, 조류 등 100여 종의 다양한 동물들이 살고 있는 이곳은 각 동물의 습성에 맞는 환경을 조성하면서 동물들의 행동과 먹이활동을 관찰하고 잘 이해할 수 있게 꾸며져 있다. 넓은 초원에 살며 흙 목욕을 즐기는 습성을 고려해 흙 목욕장이 있는 코끼리사·초원의 숲, 장난기와 호기심이 많은 원숭이들이 나무나 줄을 타고 오르내리며 활기차게 뛰어놀 수 있는 숲이 조성된 잔나비의 숲, 나무와 풀숲에 몸을 숨기기도 하고 초원을 달리듯 전속력으로 자유롭게 내달릴 수 있는 800여 평 대지의 늑대의 숲이 대표적인 공간이다. 야생동물들에 대해 더 많은 내용을 알고 싶다면 3~6월, 9~11월에 주말을 제외하고 1일 2회 동물생태해설사와 함께하는 동물생태해설 프로그램도 신청이 가능하다. 이용안내 운영시간 : 하절기(3월~10월) 09:00-19:00, 동절기(11월~2월) 09:00-18:00 이용요금 : 일반 3,000원 / 청소년·군인 2,000원 / 어린이 1,000원 주차시설 : 전용 유료주차장 기타사항 : * 20인 이상 단체할인 적용 가능                 * 동물원 입장 매표 마감 : 이용 시간 한시간 전                 * 드림랜드 이용권은 드림랜드 시설 내 매표소에서 별도 구매

덕진공원

덕진공원이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동에 있는 공원이다. 전주역 북쪽 3 km 지점에 있는 덕진호 일대의 유원지로, 시민공원이라고도 한다. 덕진호의 유래는 서기 901년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이 도서방위를 위해 늪을 만들었다는 설이 있고, 동국여지승람에는 "전주가 3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로, 북쪽만 열려있는 탓에 땅의 기운이 낮아 가련산과 건지산 사이를 제방으로 막아 저수함으로써 지맥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했다"고 전해진다. 전주 시내 중심에 위치한 덕진공원은 전주 시민들에게 있어 하나쯤의 사연을 간직한 추억의 장소이다. 특히 덕진공원이 안고 있는 드넓은 호수인 덕진호에서는 해마다 7월초면 어김없이 덕진호를 수놓아 전국의 여행객들과 사진작가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전주 8경 중 하나로 손꼽히는 덕진채련(德津採蓮)과 함께 덕진공원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는 연못인 덕진호에서 펼쳐지는 음악분수도 덕진공원의 빼놓을 수 없는 관람사항이 되었다. 다양한 볼거리로 전주시민들의 추억을 담고 있는 덕진공원. 덕진공원이야말로 전주 시민들의 낭만이 고스란히 담긴 곳이라 할 수 있다. 연꽃향기가 가득한 덕진공원에는 신석정, 김해강, 이철균, 백양촌 시인의 시비가 둘러 서 있다. 지역 현대문학의 개척자이자 전북문학사를 빛냈던 문인들을 추모할 수 있는 '전주 문학의 성지'로서의 모습이다. 대대적인 정비공사를 통하여 1998년부터 재개장한 공원의 특색은 마운팅 시공으로 향촌의 작은 언덕을 연상케 한다. 또한 전통 정자와 창포늪을 조성하여 역사성을 극대화 하였고 인공 폭포와 목교를 설치하여 자연친화시설로 시민의 정서에 맞도록 공원을 재조성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단오절에는 이른 아침부터 연못의 물로 부녀자들이 머리를 감고 한 해 건강을 기원하는 단오 창포물 잔치로도 유명하다. 덕진공원안에는 신석정, 김해강 시인의 시비 뿐만 아니라 어린이 헌장, 전봉준 장군상, 전주시민 갤러리 등 덕진공원을 찾는 이들에게 전주의 정취를 안겨주는 문화 공간의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덕진공원의 풍경  대부분의 저수지가 관개용으로 만들어진 것에 비해 풍수지리설에 연유하여 만들어진 유래가 독특하다. 동쪽의 건지산, 서쪽의 가련산을 잇는 덕진제에 수양버들 ·벚꽃나무가 늘어서고, 5월이면 창포와 연꽃이 수면을 메우는데, 특히 덕진 연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끝없이 펼쳐진 연꽃의 모습은 한폭의 그림과도 같은 서정적인 풍경을 이룬다. 덕진공원 내 시설 공원 내에는 전주이씨의 시조인 신라 사공 이한을 모신 조경단을 비롯하여 취향정과 동물원 등이 있고, 수영장 ·테니스코트 등 각종 위락시설도 갖추고 있으며, 특히 호반을 가로지르는 현수교는 경관을 돋우는 명물이다.

팔복예술공장

공간소개 팔복예술공장은 전주시가 카세트테이프 제작공장으로 운영하다 25년간 멈춰서 있던 산업단지 속 노후산업시설을 예술인 창작공간이자 시민 문화예술놀이터로서의 복합문화공간입니다. (재)전주문화재단이 운영하는 팔복예술공장은 예술가의 재도약과 창작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예술창작교류의 거점 역할을 하며 주민과 팔복동 기업을 위한 문화플랫폼을 구축하고 시민이 향유할 수 있는 복합문화시설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공간구성 ○ 1단지(‘18.3.23 개관) : 예술창작․전시공간, 카페, 아트샵, 예술놀이터   - 1층 : 창작스튜디오&셀 작업실, 카페&아트샵   예술창작공간에는 공모를 통해 선발된 국내외 13팀의 예술가가 입주하여 활동   - 2층 : 전시공간, 예술교육, 창작스튜디오   - 옥상(3층) : 예술놀이터 ○ 컨테이너 브릿지 : 1단지와 2단지를 이어주는 통로이자 백인의 서재, 아카이브 포토존으로 구성 ○ 2단지(‘18.12월 개관예정) : 문화예술교육공간, 예술놀이터 등 팔복예술공장은 - 창작-실험-인큐베이팅을 통해서 실험적인 예술창작생태계를 조성하고 장르간 융합시스템 기반을 구축하여 동시대예술의 구현 - ‘예술의 힘’을 통해 예술공장-예술공원-공단예술마을-예술공단을 만드는 팔복산업단지재생의 플랫폼구축 - 아시아문화심장터, 전주문화특별시를 실현하기 위한 예술창작교류의 거점조성 - 예술가와 기업, 주민의 협업으로 생산과 소비가 일어나는 지역공동체 형성

전주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이란 예향 전주의 풍류를 한 눈에 느낄 수 있는 풍남동,교동일대의 한옥가옥촌이다. 전통한옥 700여채를 비롯 전주전통문화센터,전주한옥생활체험관,전주전통술박물관,전주전통공예품전시관 및 명품관,경기전,풍남문,오목대 등이 이웃에 있으며, 선조들의 숨결을 생생히 느낄 수 있는 곳이다. [한옥마을의 유래] 을사늑약(1905년)이후 대거 전주에 들어오게 된 일본인들이 처음 거주하게 된 곳은 서문 밖, 지금의 다가동 근처의 전주천변이었다. 서문 밖은 주로 천민이나 상인들의 거주지역으로 당시 성안과 성밖은 엄연한 신분의 차이가 있었다. 성곽은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존재했던 것이다. 양곡수송을 위해 전군가도(全郡街道)가 개설(1907년)되면서 성곽의 서반부가 강제 철거 되었고, 1911년말 성곽 동반부가 남문을 제외하고 모두 철거됨으로써 전주부성의 자취는 사라졌다. 이는 일본인들에게 성안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으며, 실제로 서문 근처에서 행상을 하던 일본인들이 다가동과 중앙동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이후 1934년까지 3차에 걸친 시구개정(市區改正)에 의하여 전주의 거리가 격자화되고 상권이 형성되면서, 서문일대에서만 번성하던 일본 상인들이 전주 최대의 상권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1945년까지 지속되었다. 1930년을 전후로 일본인들의 세력확장에 대한 반발로 한국인들은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한옥촌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는 일본인 주택에 대한 대립의식과 민족적 자긍심의 발로였다. 1930년대에 형성된 교동, 풍남동의 한옥군은 일본식과 대조되고 화산동의 양풍(洋風) 선교사촌과 학교, 교회당 등과 어울려 기묘한 도시색을 연출하게 되었다. 오목대에서 바라보면 팔작지붕의 휘영청 늘어진 곡선의 용마루가 즐비한 명물이 바로 교동, 풍남동의 한옥마을인 것이다. [주요행사] 매주 차없는 거리운영 공예품 전시판매, 문화행사 개최 한국전통문화아카데미 운영 및 체험학교 운영 외국인대학생 학점이수제, 원어민교사 한국문화체험, 주한미군한국 전통체험, 다문화가정 한국문화이해, 재외동포한국문화체험 등

고군산군도

소개 군산 앞바다에 펼쳐져 있는 고군산군도는 선유도, 장자도, 무녀도, 대장도, 관리도, 횡경도, 말도, 방죽도, 신시도, 명도, 야미도, 연도, 어청도, 개야도, 죽도, 비응도 등 16개의 유인도와 47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진 군도로서 자연이 창조해 낸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는 천혜의 해상공원이다. 섬 주변의 물이 얕고 모래가 깨끗해 해수욕이 가능하며 어자원이 풍부해 바다낚시나 스킨스쿠버 등 레저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 고군산군도의 볼거리 고군산군도는 10리 길이의 해수욕장 모래로 유명한 명사십리(明沙十里), 해질녘 서쪽 바다가 온통 붉게 물들어 장관을 이루는 선유낙조(仙遊落照), 백사장에서 자란 팽나무가 기러기의 내려앉은 모습이라는 평사낙안(平沙落雁), 귀양 온 선비가 임금을 그리는 눈물 같다는 망주폭포(望主瀑布), 장자도 앞바다에서 밤에 고기 잡는 어선들의 불빛을 이르는 장자어화(壯子漁火), 신시도의 고운 가을 단풍이 달빛 그림자와 함께 바다에 비친다는 월영단풍(月影丹楓), 선유도 앞 3개 섬의 모습이 만선 돛단배가 들어오는 것 같다는 삼도귀범(三島歸帆), 방축도·명도·말도의 12개 봉우리가 마치 무사들이 도열한 듯하다는 무산십이봉(無山十二峯)을 고군산8경으로 꼽을 정도로 주변 경관이 수려하다.

선유도해수욕장

고군산군도의 중심섬으로 선유도에 위치한 천연해안사구 해수욕장으로 유리알처럼 고운 천연 모래가 10여리에 넓게 펼쳐 있어 명사십리 해수욕장으로도 불리워지고 있다. 소개 우리나라 곳곳에 '명사십리'라는 이름을 가진 해수욕장이 여럿 있지만, 간만의 차가 심해서 좀처럼 깨끗한 물을 보기가 쉽지 않은 서해안의 해수욕장답지 않게(?) 워낙 깨끗해서 이같은 이름이 붙었다. 물이 차는 만조 때를 제외하고는 50여 미터에 이르는 너른 폭의 모래벌판이 펼쳐져 마치 거대한 운동장을 연상케 하는데, 유리알 같은 흰 규사와 더불어 경치가 일품인데다 백여 미터를 나아가도 물이 허리 까지밖에 차지 않아 여름철엔 가족끼리 또는 연인끼리 오붓하게 해수욕을 즐기기에 더할 나위없이 좋은 곳이다. 더구나 맑다 못해 차라리 코발트빛인 앞 바다를 붉은 낙조가 물들이며 떨어지는 저녁하늘은 명사십리가 주는 또 하나의 선물이다. 하늘과 바다를 온통 붉게 물들이며 바다 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석양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새삼 자연의 경이로움에 놀라게 된다. 물이 빠졌을 때(썰물)를 이용하여 팽나무가 자라고 있는 모래톱 끝까지 걸어갈 수도 있다. 둑방 건너편의 해수욕장 못지않게 긴 자갈밭이 펼쳐져 있어 마치 영화속의 한 장면을 연상케 한다. 게다가 유난히 맑고 깨끗한 바닷물에다 발을 담글수도 있고, 멀리서 바라보기만 했던 망주봉과 팽나무를 아주 가까이서 관찰할 수 있어서 더욱 좋다. 해수욕장 주변에 적당한 장소에 야영지를 설치하면 좋을 듯하며 주위 풍경으로는 고군산도로 둘려 쌓여있으며 장자도와 무녀도로 다리가 연결되어 있으니 함께 즐길 수 있다. 선유 8경 중의 하나인 옥도면 선유도리에 있는 해수욕장, 천연 해안사구 해수욕장으로 유리알처럼 투명하고 곱고 아름다운 백사장이 넓게 펼쳐져 있어 명사십리 해수욕장으로 불린다. 100여미터를 들어가도 수심이 허리까지 밖에 차지 않고 높은 파도가 없어서 안전하게 물놀이를 할 수 있다. 바다낚시, 갯벌체험, 모터보트, 바나나보트 등 다양한 체험관광도 즐길 수 있으며 편의시설로는 샤워장, 화장실(5개), 방갈로(2동), 이동파출소, 보건소,우체국, 간이상수도, 상가, 여관과 민박시설 등이 있다.   출처 군산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소개 근대역사의 중심 도시 군산의 근대문화 및 해양문화를 주제로 하는 특화박물관이자 지역박물관으로서 방문객들이 군산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부지2,525평(8,348㎡) 연면적1,285평(4,248㎡)이고, 지하1층 지상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업비 182억이 소요되었으며 사업 기간은 2007년 시작하여 2011년 9월에 개관하였다. 본관은 ‘국제무역항 군산의 과거, 현재, 미래’라는 컨셉으로 선사시대부터 근대시대까지의 유물과 자료를 통하여 물류유통의 중심지였던 군산의 과거를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현재와 미래를 통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제를 전하고자 전시내용은 군산의 역사를 조명한 ‘삶과 문화 코너’, 지리적 중요성으로 물류유통의 항구 기능을 확인하는 ‘해양유통코너’, 군산 및 고군산의 문화와 역사를 조명하는 ‘바다와 문화코너’, 군산인근의 해저발굴유물을 소개하는 코너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시설안내 1층 - 해양물류역사관(509㎡), 어린이체험관(126㎡), 수장고(113㎡), 기증전시실(69㎡) 2층 - 근대자료규장각실(84㎡), 시민열린갤러리(160.65㎡) 3층 - 근대생활관(617㎡), 기획전시실(231㎡) 관람시간 관람시간 구분 시간 하절기 (3 ~ 10월) 09:00 ~ 18:00 (입장 종료시간: 17:30) 동절기 (11월 ~ 이듬해 2월) 09:00 ~ 17:00 (입장 종료시간: 16:30) 휴관일 1월 1일, 매주 월요일, 시장이 휴관일로 정한 날 통합권요금 통합권 요금 구분 나이 박물관 통합권(박물관+미술관+건축관+위봉함) 금강권 통합권(박물관4개소+금강권3개소*) 개인 단체 개인 단체 성인 (군산시민) 1960년~2005년생 3,000(2,000) 2,000(1,000) 5,000(3,000) 3,000(2,000) 청소년, 군인 (군산시민) 2006년~2011년생 2,000(1,000) 1,000(500) 4,000(2,000) 2,000(1,000) 어린이 (군산시민) 2012년~2017년생 1,000(500) 500(400) 3,000(1,000) 1,000(500) * 금강권 3개소: 채만식문학관, 3.1운동100주년기념관, 금강미래체험관 개별권요금 통합권 요금 구분 박물관/금강미래체험관 위봉함 건축관/미술관/3.1운동기념관/채만식문학관 일제강점기 군산역사관 개인 단체 개인 단체 개인 단체 개인 단체 성인 (군산시민) 2,000 (1,000) 1,000(500) 1,000(500) 700(300) 500(500) 300(300) 1,000(500) 700(300) 청소년, 군인 (군산시민) 1,000(500) 700 (300) 700 (300) 400(200) 300(300) 200(200) 700(300) 400(200) 어린이 (군산시민) 500(300) 300(200) 300(200) 200(100) 200(200) 100(100) 500(200) 300(100)

초원사진관

소개 초원사진관은 1998년 1월에 개봉한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의 촬영 장소이다. 영화는 불치병을 앓는 30대 중반의 사진사 정원(한석규)이 주차단속원 다림(심은하)을 만나면서 마지막으로 사랑에 대한 기억을 엮어가는 과정을 그렸다. 8월의 크리스마스 제작진은 세트 촬영을 배제하기로 하고 전국의 사진관을 찾아보았지만 마땅한 장소를 찾지 못했다. 그러던 중 잠시 쉬러 들어간 카페 창밖으로 여름날의 나무 그림자가 드리워진 차고를 발견하고 주인에게 어렵사리 허락을 받아 사진관으로 개조하였다. 초원사진관이라는 이름은 주연배우인 한석규가 지은 것인데, 그가 어릴 적에 살던 동네 사진관의 이름이라고 한다. 정원의 집과 초등학교 등 영화 촬영의 대부분은 이 초원사진관 인근에서 이루어졌다. 촬영이 끝난 뒤 초원사진관은 주인과의 약속대로 철거 되었다가, 이후 군산시에서 관광객들이 관람하고 사진도 찍을 수 있도록 복원하였다. 에피소드 에피소드1 이 곳은 처음 얼마 간 새로 사진관이 생긴 줄 알고 찾아오는 이들이 많았다. 극중에서 가족사진을 찍는 이들 가운데 일부는 엑스트라가 아닌 실제 방문객이라고 한다. 에피소드2 크리스마스 장면에는 눈이 필요한데, 촬영시기가 11월 말이었다. 제작진은 사진관 주변에 솜을 깔고 소금을 뿌려 눈이 내린 것처럼 꾸몄다. 촬영 후 동네 아주머니들이 이를 수거해 김장 때 쓰기로 하여 제작진은 청소하는 수고를 덜 수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