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눈이 쌓인 산사를 거닐며 남원의 정취를 느끼는 겨울

코스 중 광한루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남원혼불문학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국악의성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실상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광한루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남원혼불문학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국악의성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실상사의 대표 이미지
연관태그
남부권 당일 겨울 유적지 휴양지 가족 연인 친구 관람 휴식
여행후기
☆☆☆☆☆ (0)건
코스소개
  • 광한루원
  • 남원혼불문학관
  • 국악의성지
  • 실상사

광한루원 → 혼불문학관 → 국악의성지 → 실상사

국악의성지

전통 국악의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는 남원 국악의 성지 민족의 영산 지리산 자락 운봉에 위치하고 있는 국악의 성지는 우리 민족의 전통과 혼이 담긴 국악의 본 고장이요, 성지임을 널리 알리기 위해 국악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의 염원을 모아 조성하였다. 국악은 우리 민족의 역사이고 세계가 인정한 문화유산이며 우리민족의 혼이 살아 숨 쉬는 살아있는 역사이다. 특히 남원은 판소리 다섯마당 중 춘향가와 흥부가의 배경지가 될 만큼 예로부터 국악의 산실이었으며 오늘날 동편제 판소리를 정형화한 가왕 송흥록이 태어난 유서 깊은 곳이다. 동편제 소리의 발상지 이며 춘향가 흥부가의 배경지로서 국악의 역사가 보존 전승되어온 국악 본고장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판소리의 유네스코 세계문형문화유산 등록에 따른 국악의 보존·전승·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여 전통문화의 고급화·관광 상품화를 통한 세계화를 도모하기 위해 바로 이곳 남원 운봉에 ‘국악의 성지’가 설립된 것이다. 국악의 성지는 국악선인의 묘역, 전시체험관, 독공실, 국악인 참배시설 등이 있어 우리 국악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보고 체험해 볼 수 있다. 각 체험프로그램의 운영일자가 각각 다르므로 시립국악단이나 국악의 성지 사무실에 연락을 하여 예약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실상사

서방산에 자리한 작고 아담한 사찰 실상사 실상사는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89번지 서방산에 자리한 작고 아담한 사찰로 한국불교태고종 사찰이다. 조선왕조 중엽에 창건된 사찰로 알려지며 1918년경 학승스님이 복원했으며 시내 도로변에 위치하여 왕래가 편하다. 실상사 경내의 정면에는 대웅전이 위치해 있고, 그 좌우에는 삼신각과 요사채가 일직선으로 놓여 있는 매우 간결한 배치를 하고 있다. 특히 산신각은 요즘 사용하지 않아 많이 퇴락한 상태이다. 대웅전에는 특이한 벽화가 그려져 있어 기억에 오래 남는다. 일반적인 벽화로 흔히 볼 수 없는 인로왕보살도나 주악천인상도 있으나, 그와 더불어 토끼와 거북이 설화 등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상사에 들러 독특한 벽화를 한번 살펴보길 바란다. 부처님을 만나서 맛보게 되는 환희심 실상사는 1933년에 용봉사(龍奉寺)에 있던 만훈 스님이 이곳으로 와서 창건했으며, 인법당을 짓고 처음으로 법등을 밝혔다고 한다. 그 뒤 1959년 무렵에 삼성각, 1983년 무렵에 요사를 짓고, 1995년에는 현재의 주지 일암(一庵) 스님이 대웅전을 중건했다. 시내에서 멀지 않아 힘들이지 않고 금방 찾아갈 수 있는 작은 사찰. 그럼에도 찾아오는 이 적은 사찰에는 무언가 남들이 알지 못하는 비밀이 간직되어 있는 듯하다. 부처님 앞에 두 손 모아 합장하고 예를 갖춘 후 대웅전 이곳저곳을, 작은 절집의 이모저모를 찬찬히 뜯어보길 바란다. 그러면 절집의 곳곳에서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맑고 청량한 공기나 이마의 땀을 닦아내는 미풍까지 달게 느껴질 것이다. 그때 느끼는 희열이 곧 부처님을 만나서 맛보게 되는 환희심이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