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 불타는 여름, 시원하게 즐기자~

코스 중 덕유산 자연휴양림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무주 구천동 계곡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와룡자연휴양림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장안산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덕유산 자연휴양림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무주 구천동 계곡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와룡자연휴양림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장안산의 대표 이미지
연관태그
동부권 1박2일 여름 휴양지 연인 친구 나홀로 휴식
여행후기
☆☆☆☆☆ (0)건
코스소개
  • 덕유산 자연휴양림
  • 무주 구천동 계곡
  • 와룡자연휴양림
  • 장안산

무주 덕유산 → 무주구천동 → ATV체험장 → 장수 와룡자연휴양림 → 대곡저수지 → 장안산

무주 구천동 계곡

시원하게 흘러가는 구천동 계곡 33경으로 유명한 덕유산의 대표 경관 덕유산 최고봉인 향적봉(1,614m)에서 발원해 북쪽의 무주로 흘러 금강의 지류인 남대천에 합류하는 물줄기를 일컫는 ‘무주구천동’은 36km에 이르는 긴 계곡이다. 구천동(九千洞)이라는 지명은 ‘구천 명의 생불(生佛)이 나올 정도로 깊고 그윽한 계곡’이라 해서 구천둔(九千屯)이라 불리던 데서 유래했다고 전한다. 구씨와 천씨가 사는 계곡이라는 데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기나긴 구천동계곡에는 13개의 대(臺), 10여 개의 못, 20여 개의 폭포 등 기암절벽과 여울들이 굽이굽이 이어진다. 이 중에서도 무주구천동의 아름다운 경관은 예로부터 선인들이 이름 붙인 ‘구천동 33경’으로 집약된다. 33경은 제1경인 나제통문(羅濟通門)을 비롯하여 은구암(隱龜巖)·청금대(聽琴臺)·와룡담(臥龍潭)·학소대(鶴巢臺)·일사대(一士臺)·함벽소(涵碧沼)·가의암(可意巖)·추월담(秋月潭)· 만조탄(晩釣灘)·파회(巴?)·수심대(水心臺)·세심대(洗心臺)·수경대(水鏡臺)·월하탄(月下灘)·인월담(印月潭)·사자담(獅子潭)·청류 동(淸流洞)·비파담(琵琶潭)·다연대(茶煙臺)·구월담(九月潭)·금포탄(琴浦灘)·호탄암(虎灘巖)·청류계(淸流溪)·안심대(安心臺)·신양 담(新陽潭)·명경담(明鏡潭)·연화폭(蓮華瀑)·이속대(離俗臺)·백련사(白蓮寺)·구천폭(九千瀑)·백련담(白蓮潭)이 있으며, 마지막 제33경은 덕유산 최고봉인 향적봉을 일컫는다. 제1경인 나제통문부터 제14경인 수경대까지는 덕유산으로 들어가는 길목 바깥에 위치하고 있어 ‘외구천동’이라 부른다. 이 14개의 경치는 도로로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드라이브하며 둘러볼 수 있다. 제15경인 월하탄부터 덕유산 최고봉인 제33경 향적봉까지의 ‘내구천동’은 직접 걸어야 감상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2009년 구천동계곡의 일사대와 파회, 수심대 일원을 명승으로 지정하였다.

와룡자연휴양림

수려한 자연경관, 사계절 매력적인 휴양처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은 생명의 근원인 물의 고장이다. 아울러 와룡 자연휴양림은 팔공산을 기점으로 금강과 섬진강의 물줄기가 갈라지는 곳에 다섯 개의 계곡상봉인 오계치를 연계한 계곡수와 그 주변에 삼림욕장, 썰매장, 수영장, 물 놀이터부터 다양한 산행까지 할 수 있는 사계절 최적의 휴양처가 자리 잡고 있다. 1996년 6월에 개장한 와룡자연휴양림은 진안군과 장수군에 경계해 있다. 특히 숲이 울창하고 홍어 모양을 띤 계곡 분지로 주위 산들과 연계하여 등산하기에 좋다. 연수의 집과 야외 강의실 산림문화휴양관과 숲속의 집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있다. 이곳은 캠핑장이 나무 데크로 되어 있어서 야영하기에 좋다. 오토캠핑장 뿐만 아니라 계곡 따라 숲속에 자리한 야외 데크도 이곳 자랑거리이다. 와룡자연휴양림에서는 몇 차례 캠핑을 해봤는데 한여름에도 해가 지면 서늘하다. 데크가 넓어서 3~4인용 텐트는 두 개도 넉넉하게 칠 수가 있다. 캠핑 장비를 챙기고 텐트 설치하고 또 철수하고 하는 일들이 번거롭기도 하지만 집을 떠나 자연에서 맞는 모든 것들은 방화동에서 만난 지영이 말대로 새로운 경험이다. 타닥타닥 타는 나무소리, 숯불에 고기가 지글지글 익어가고 하늘에 별은 총총한데 마침 쏴아 바람이 불기라도 하면 모든 시름을 잊게 된다. 조용한 이곳에 와서 지친 몸과 마음을 쉬어가는 건 어떨까? 여기 장수가 오늘도 당신을 기다린다.

장안산

장안산은 장수읍에서 동향 30리 지점, 계남에서 동남향 10리 지점, 장계에서 남향 20리, 번암에서 동향 50리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명 영취산이라고 한다. 산의 높이는 1,237m 장수, 번암, 계남, 장계 등 4개면의 중앙에 있으며 그렇게 크지 않는 산이다. 백두대간이 뻗어 전국의 팔대종산중 제일 광활한 면적을 점유하고 있는 점과, 위용보다 위명을 자랑하고 있는 점에서 이 산의 인식이 재정립되어야 할 줄 안다.이 산경에 대한 지리적 위치를 제대로 파악치 못하고 지리산을 호남의 진산이라고만 알고 있는 데에는 많은 아쉬움이 있다.호남정맥의 기봉이기 때문에 호남의 종산이다. 이 산의 정 위치를 알고 보면 얼마나 중요한 요새지인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지맥기국판을 합하며 장안산은 전국 8대종산중 제일 광할한 위치를 차지한 종산이며 전국토의 4분의 1을 차지하였다고 할 것이다.이 산의 원맥과 지맥과 분수삼강을 일목 요연하게 기록하여 보면 장안산에서 서북류하며 금강이며, 서남류하면 섬진강이 되고 동남류하면 낙동강이 된다.이 산의 원맥, 즉 조산이 어디에서부터 어떻게 이 산까지 왔으며 이 산을 조산으로 하여서 조산이 어떻게 하여 어디까지 연결되었으며 3대강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었는가 상세히 기록하여 보기로 하자.백두산에서 연지봉으로, 연지봉에서 노항령으로(함경북도 무산지방 삼백리), 노항령에서 서북래하여, 갑산동방 3백80리에서 수산령 황토령이 생기고, 다시 후치령, 다시 서행하여 북청북방 1백리 지점에서 태백산이 있고, 함흥 동북쪽 3백리 지점에 황초령이 있다 1백리 지점에 녹향산, 설한령 함흥면 북방 2백 60리에 낭림산이 있다.다시 동남향하여 영원 북쪽 2백40리 지점에 마유산, 영원동편 1백20리 지점에 흑전산 맹산 영흥경계에 오강산, 양덕 북쪽 1백50리에 여라산, 양덕 북쪽50리에 장좌령, 고원 서북방 1백리에 죽전령이 있다. 영흥 서남 2백80리 기린산, 양덕 북방칠십리에 재령산, 양덕 동방 10리에 화여산이 있다.덕원지 40리에 마사산, 남행하여 덕원면 10리에 박달령이 있으며 안변서쪽 60리에 백계산 분수령을 이루며, 안변서남 1백50리 지점에 청로산, 추포령, 풍류산이 안변 남쪽 90리 지점에 있다.준양 북쪽 90리에 판기령, 저유령, 추지령, 남행하여 판막령, 주령, 온정령, 동남쪽에서 내려와 1백30리 지점에서 금강산, 고성면쪽 60리지점에 회전령에서 남쪽으로 내려와 진부령이 있고 미파시파사 생겨있다. 연수령 북쪽 50리 지점에 초짐령, 구룡령이 있으며 구룡령에서 오대산이 있는데 강릉 서쪽 1백 40리에서 진부령이 있다. 육십령은 장수동북방 50리 위치에 있으며 본월상 영연산 무룡궁에 이른다.무룡궁이란 도의학적 용어로는 산맥 또는 신경능 가르켜 용이라고 한다. 무용이란 용이 춤을 춘다는 말이며, 용이 춤을 춘다는 말은 산형이 힘차고 재주있게 생겼다는 말이라고 한다.이곳 무룡궁을 일컬어 호서일부와 호남전역의 입수라고도 하는데 이말은 금강이남의 충청남도와 섬짐강 이북 전역의 머리라는 말이다. 옛사람들은 호남인의 재질과 예기가 이상의 무룡궁의 산경에서 부터 보았다는 것이다. 무룡궁의 산세가 힘차게 치솟아 장안석에 좌정한다.그러므로 장안산은 호남과 호서의 조산이며 진산이다.무룡궁에서 발원한 물은 서북 자수로, 금강의 최상류 지대이며 서남향수는 섬진강의 최상류이고 동남향수는 낙동강의 상류지대가 된다.따라서 영취산(장안산)은 지리산의 부산이 되는 셈이다.장안산 이하의 산경이 연맥하여 호남정맥이 형성되고 호남정맥은 남노와 북노로 분맥하며 부여, 임피, 옥구, 부안, 목포, 영수, 광양에 이르는 산경, 분맥을 기록한다  등산안내 이병태 063-350-2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