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서해안에서 해넘이 해맞이를 동시에 즐기자

코스 중 신시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새만금 홍보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채만식문학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금강하구둑 철새조망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신시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새만금 홍보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채만식문학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금강하구둑 철새조망대의 대표 이미지
연관태그
서부권 당일 바다 가족 휴식
여행후기
☆☆☆☆☆ (0)건
코스소개
  • 신시도
  • 새만금 홍보관
  • 채만식문학관
  • 금강하구둑 철새조망대

군산 신시도 → 새만금 홍보관 → 채만식문학관 → 금강하구둑

신시도

소개 최고점은 대각산(187m)으로 북서쪽에 솟아 있고, 남동쪽에는 신치산(142m)이 솟아 있으며, 200m 이하의 구릉성 산지가 많다. 취락은 남쪽 지풍금마을에 주로 분포하며, 주민들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연근해에서는 새우·멸치·갈치·고등어 등이 잡히며, 김 양식이 활발하다. 농산물로는 쌀·보리·고구마·고추·콩 등이 자급할 정도로 생산된다. 신라 때 최치원이 신치산에 단을 쌓고 글을 읽었는데 그 소리가 중국까지 들렸다는 이야기가 전하며, 근세의 대유학자인 간제 전우가 일시적으로 거주한 곳이기도 하다. 신시도의 유래로는 신시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신라 초기. 당시 섬 주변의 풍성한 청어를 잡기 위하여 김해 김씨가 처음으로 들어와 살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신라 시대에는 문창현 심리, 또는 신치로 불리어 오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신시도로 개칭하였다. 국립신시도 자연휴양림 2021년 3월에 문을 연 국립 신시도 자연휴양림은 산림청이 230억원을 들여 120ha에 객실 56개 규모로 지은 국립자연휴양림 가운데 최대 규모이다. 국립 신시도 자연휴양림 커뮤니티 센터 태양 전망대 달맞이 공원 신시도 풍경 아름다운 바다와 함께 '해, 달 그리고 별'이라는 컨셉에 맞춰 지은 태양 전망대, 달맞이공원, 커뮤니티센터 등의 휴양시설과 과 4.2km의 해안 탐방로 등 다양한 볼거리가 마련되어 있다. 여행포인트 월영단풍 해발 198미터의 월영봉에는 또 하나의 절경이 있는데 가을철의 신시도 앞바다를 지날 때면 월영봉의 단풍이 한국화 병풍을 보는 듯하다. 대각산 전망대 비경을 갖춘 대각산 정상에 있는 전망대, 무료 망원경으로 새만금방조제와 고군산군도의 절경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으며 기상이 좋은 날에는 변산반도의 왕등도 방조제까지 육안으로 불 수 있다. 등산 코스 (총 9.2km / 4시간 소요) 신시도 배수갑문 - 임도 - 철계단(3개) - 199봉 - 월영재 - 월영봉 - 미니해수욕장 - 대각산 - 월영재 - 새만금 공사현장사무소 교통정보 군산/전주 자동차 전용도로 (군산방향) - 비응관광어항 - 새만금방조제 - 야미도 - 신시도 숙박정보 신시도 어촌계(063-463-3401) / 담당자 휴대폰(010 –6660 –7994) 먹거리정보 8월엔 바지락이 맛과 영양까지 가득하며 직접 채취할 수 있음 출처 군산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채만식문학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내흥동에 있는 소설가 채만식의 문학관은 백릉 채만식 선생의 문학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금강 변에 자리한 160평 규모의 문학관은 정박한 배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채만식 선생의 삶의 여정과 작품을 접할 수 있다. 채만식 문학관은 2층 건물로 되어 있다. 1층 로비는 채만식 선생의 인물사진, 작품 속의 이미지와 군산모습 사진 등이 있으며, 6m의 원형공간인 전시실에는 채만식 선생의 치열한 삶의 여정을 시대에 맞춰 파노라마식으로 소개하고 선생의 목소리를 재현하여 사실감이 있다. 자료실에는 채만식 선생에 관한 각종 자료 및 논문, 백릉 채만식 발간도서, 군산시 향토작가 도서 등 보관되어 있다. 2층 로비는 채만식 선생의 인물사진 및 임종시 익산 초옥 사진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50석 규모의 영상세미나실에는 탁류(오페라) 및 백릉 채만식 선생 의 일대기(한국문학기행)을 관람할 수 있고, 또한 각종 문학 강좌 및 세미나를 할 수 있다. 문학관 주변에는 콩나물고개를 상징하는 둔뱀이 오솔길, 호남평야에서 걷어 들인 쌀을 실어오는 기찻길 등 시대를 형상하며 선생의 향수를 느낄 수 있는 미두, 백릉, 청류, 문학 광장으로 조경하여 관람객들의 휴식공간으로 조성하였다. 관람시간은, 하절기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동절기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다. 매주 월요일과 매년 1월 1일은 휴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