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만남, 사랑, 고난의 춘향! 춘향테마코스

코스 중 광한루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춘향테마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향토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오리정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광한루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춘향테마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향토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오리정의 대표 이미지
연관태그
남부권 당일 여름 유적지 연인 휴식
여행후기
★★★★★ (1)건
코스소개
  • 광한루원
  • 춘향테마파크
  • 향토박물관
  • 오리정

광한루원 → 춘향테마파크 → (향토박물관) → 오리정 → (춘향버선밭)


춘향테마파크

사랑의 테마가 있는 관광지로 조성한 곳!    남원시 어현동 남원관광지내에 소재한 곳(3만 5천평 규모)으로 임권택 감독의 영화 [춘향뎐]의 촬영 장소를 포함하여 사랑의 테마가 있는 관광지로 조성한 곳이다. [춘향뎐]의 지고지순한 사랑을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의 마음속에 담아내 과거의 사랑과 이제 사랑을 시작하는 이들이 사랑의 추억을 만들 수 있도록 조성돼 있고 만남의 장, 맹약의 장, 춘향뎐 영화세트장, 축제의 장 등 사랑의 5개 마당으로 춘향테마의 일대기를 재현하고 있다. 또한 철저한 고증을 거쳐 완성된 동헌, 관아, 내아, 월매집, 부용당, 옥사정을 비롯해 조선 중기 서민들의 삶이 깃든 고건물들이 들어서 있어 조선 중기 서민문화와 춘향의 삶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만남의 장 전통의 미와 현대적 편의 시설로 맞이하는 진입부인 만남의 장에는 테마파크 종합안내와 바닥조명분수, 춘향마당, 종합상품관, 전통문화체험관 등이 있다.   맹약의 장 테마파크를 방문한 모든 관광객의 안녕과 사랑을 맹약하는 사랑의 담장, 맹약의 단, 그네터 등이 있다.   사랑, 이별의 장 춘향의 고난과 순결한 사랑의 완성을 전개해 놓은 곳으로 조선 중기의 동헌을 복원해 놓았으며 춘향뎐의 주요장면이 미니어쳐와 실제 크기로 재현되어 있으며 임권택감독의 춘향뎐 촬영 세트장, 춘향과 몽룡이 첫날밤을 보낸 부용당과 월매집, 공방, 관광객이 직접 붓글씨를 쓸 수 있는 글방 등이 있다.   시련의 장 춘향의 가슴 아픈 이별과 옥중 생활을 재현한 옥사정과 관아 형태가 복원되어 있다.   축제의 장 축제 행사의 장, 단체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휴게 광장과 야외 공연장이 조성된 공간이다. 

향토박물관

남원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의 전당 남원을 여행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들러봐야 할 곳이 바로 남원향토박물관이다. 비옥한 땅과 지리산과 접해있어 살기 좋은 조건을 갖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은 전통 깊은 문화유산이 많은 곳이자 '춘향전', '흥부전', '홍도전', '만복사저포기' 등 주요 작품의 배경으로 다뤄질 만큼 예로부터 문화와 예술이 풍성한 고장으로 유명했다. 2004년 개관한 남원향토박물관은 남원의 오랜 역사와 전통만큼 방대한 문화유산과 민속자료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전시시설로 문화도시 남원을 이해하는데 좋은 길라잡이가 되고 있다. 남원향토박물관은 부지면적 8,169㎡, 건축 총면적 1,382㎡의 지하 1층•지상 1층으로, 남원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민속부분을 쉽고도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전시실과 기획전시실, 영상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박물관은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 약 2,500여 점의 문화유산 자료, 사료, 유물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전시하고 있어 남원의 참모습을 진실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남원의 옛 민속촌, 춘향전과 춘향제, 3D용마놀이, 남원의 목기 등 특산물을 실물과 모형 및 영상매체 등으로 입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향토박물관을 먼저 둘러본다면 다른 여행지들이 보다 쉽고 재미있게 다가온다. 향토박물관 가까이에는 춘향테마파크와 광한루원 등의 둘러볼 수 있는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오리정

성춘향과 이몽룡이 눈물로 이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사매면 월평리에 있는 누각으로 1984년 4월 1일 전북특별자치도문화재자료 제56호로 지정되었다. 오리정은 전주와 남원 간의 국도변에 위치한 2층으로 된 목조 기와집으로 대청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대소설[춘향전]에서 남원 기생의 딸 성춘향과 남원부사의 아들 이몽룡이 백년가약을 맺고 행복하게 지내다가 남원부사였던 이몽룡의 부친이 한양으로 전직하게 되자, 성춘향이 이몽룡을 따라가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이별하게 되자 이곳에서 눈물로 이별을 하였다고 한다. 춘향전을 배경으로 한 정자 오리정은 춘향전의 이야기를 현실로 구성한 아리따운 건물로 1953년에 세워졌다. 건물 형태는 정자의 형식을 갖고 있지만 2층 기와집의 형태를 빌은 독특한 모양이다. 건물구성도 큰 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장식적인 요소를 골고루 갖춘 아기자기한 형태이다. 치밀하고 섬세하진 않지만 화려함을 뽐내는 단청도 건물의 형태와 구성과 어울려 비현실이 현실이 되어버린 ‘춘향전’처럼 소설적(小說的)인 맛이 나는 건물이다. 건물의 구성을 살펴보면 1층은 정면 4칸이나 칸 사이가 좁고, 측면도 4칸이나 2칸은 지붕을 얹기 위한 퇴칸으로 대체로 8자 간격의 보통 정자 2칸 크기보다 약간 넓다. 초익공으로 기둥과 대들보를 맞대었고 계자각 난간, 천정은 가운데 2층 바닥면 밑을 사각 반자, 모서리 추녀 부분은 선자연으로 구성하여 장식적인 요소를 곳곳에 가미하였다. 현대에 지어진 정자라서 가객의 풍류를 읊은 현액은 없고 다만, 오리정계원의 명단을 적은 나무 현액이 오른편에 걸려있다. 2층은 정면 2칸 측면 1칸으로 칸 사이가 좁아 1층과 맞추어 조화를 이룬다. 1층과 마찬가지로 초익공, 계자 난간으로 꾸몄으며 지붕은 작지만 팔작지붕으로 마감하여 건물 모양을 완성하고 있다. 오리정 앞에는 연못이 있고 주위에는 숲이 감싸고 있어 지나가는 사람들의 눈길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