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구 스님이 창건한 소래사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절 일원이 전라북도 기념물 제78호로 지정되어 있다. 633년(무왕34) 혜구(惠丘)가 창건하여 소래사라고 하였다. 그 뒤 1633년(인조11)에 청민(靑旻)이 대웅보전을 지어 중건하였고, 1604년(인조18) 청영(淸映)이 설선당과 요사를 지었다. 1902년 관해(觀海)가 수축한 뒤 1983년 일주문을 세우고 1985년 대웅보전을 중수하였으며, 1986년 천왕문을 짓고 설선당과 요사를 보수하였다. 1987년 봉래루를 해체 복원하였으며 1988년 요사인 진화사(眞華舍)를 건립하였다. 1995년 수각(水閣)과 종각을 짓고 범종을 조성하였다. 소래사가 내소사로 바뀐 것은 중국의 소정방(蘇定方)이 석포리에 상륙한 뒤, 이 절을 찾아와서 군중재(軍中財)를 시주하였기 때문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고쳐 불렀다고 전하나 사료적인 근거는 없다. 현존하는 당우 및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91호로 지정된 대웅보전(大雄寶殿)을 비롯하여 보물 제277호인 고려동종(高麗銅鐘), 보물 제278호인 법화경절본사경(法華經折本寫經), 보물 제1268호로 지정된 괘불 등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로 지정된 요사채, 설선당(說禪堂)·보종각(寶鐘閣)·봉래루(蓬萊樓),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로 지정된 삼층석탑 등이 있다. 의장과 기법이 매우 독창적인 조선 중기의 대표작 대웅보전은 1623년(인조1)에 완공되었는데 그 의장(意匠)과 기법이 매우 독창적인 조선 중기의 대표작이다. 못 하나 쓰지 않고 나무를 깎아 서로 교합하여 만들었다고 하며, 법당 내부의 벽면에 그려진 관세음보살상 등의 그림도 일품이다. 또한, 고려동종은 1222년(고종9) 변산 청림사(靑林寺)에서 만든 종인데, 1850년 땅속에서 발굴된 뒤 이 절로 옮겨졌다. 부속암자로는 입구의 지장암과 절 후방 1.5㎞ 지점에 청련암이 있다.
이용시기 | 연중무휴 |
---|---|
이용시간 | 상시 |
주차시설 | 있음 |
쉬는날 | 연중무휴 |
검색결과 133건 (6/133)
내소사는 한번 쯤은 무조건 가봐야할 곳이예요! 전나무 숲길을 걸으면 눈과 마음이 모두 정화되고 정말 좋은 관광지 인것 같아요! 사계절 내내 어느 계절 빠짐없이 좋은 곳입니다! 아름다운 내소사 한번 꼭 가보세요!
단풍은 즐기고 싶은데 산행은 싫으신 분은 꼭 내소사를 가보시길 바래요!!! 나무들이 일렬로 길을 내어주는데 붉고 노랗게 물든 단풍의 향연은 근심 걱정을 잠시나마 잃고 그 길을 따라 걷게 된답니다~ 저는 생각보다 규모가 커서 놀랬기도 했고 알록달록 절 안의 멋진 경관에 다시 한 번 더 놀랬네요^^
우연히 들렸다가 매년 가는 곳이 됐어요! 힐링하고싶을때 숲길 산책하면 기분이 좋아져요~ 봄에는 벚꽃도 피어서 더더 이쁩니다!!
부안에 가면 꼭 들리는 곳입니다. 커다란 나무들이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는 전나무 숲길이 산책하기 좋고, 고즈넉한 분위기의 사찰은 운치가 있어 좋은 곳입니다. 내소사 바로 옆에 지장암이라는 부속 절이 있는데 그곳도 꼭 둘러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꽃이 가득 피어 있어 내소사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더라고요.
사실 내소사는 잠깐 들리고 내소사로 향하는 토탈관광 홈페이지에서 사진을 보고 힐링하기 좋을 것 같아서, 전나무 숲길에서 시간을 보내고 왔습니다. 정말 편안하고 한주동안 쌓였던 피로과 스트레스가 풀리는듯 했습니다. 다음에 또 가서 내소사까지 다녀올 계획입니다.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