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사모종
관음봉 아래에 곰소만의 푸른 바다를 내려다보며 자리하고 있는 천년고찰 내소사 경내에는 아름드리 나무들이 빽빽이 들어차 있고 해질 무렵 어둠을 뚫고 고즈넉한 산사에서 울려퍼지는 저녁 종소리에 신비로운 정경을 제3경이라 친다.
|
무더웠던 여름 어느날 새벽이라도 좋았을 것이다. 흰눈이 가득내렸던 겨울이라도 운치가 있었을 것이다. 달콤했던 20대 첫사랑의 손을 잡고 처음 걸었어도 행복했을 것이며, 40대 늦은 오후 아내의 손을 잡고 걸어도 행복했을 것이다. 모퉁이를 돌아 나오는 전나무길 위에 새벽의 빛이 내려앉아도 그만의 달콤함이 스며들었을 것이며, 한해의 마지막 달 눈밭의 전나무길도 고즈넉하고 좋았을 것이다.
|
|
![]() |
일주문을 들어서면
천왕문에 이르기까지 전나무 숲길이 길게 이어져 있는데, 침엽수 특유의 맑은 향내음은 속세의 찌든 때를 씻어내기에 적격이며, 사색하기에도 더 없이 좋은 공간이다.
|
내소사 대웅보전
대웅보전 안에는 석가 불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봉안되어 있고, 불화로는 영산후불탱화, 지장탱화 및 후불벽화로 '백의관음보살좌상'이 그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후불벽화로는 가장 규모가 큰 것이다. 자세히 살펴보니 정말 인간의 솜씨를 넘은 성스러운 모습이다. 관음보살님의 눈을 보면서 좌 우로 왔다 갔다 해보면 관음보살님 눈동자가 내가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데(물론 사람에 따라 안보일 수도 있다.), 눈동자가 움직이는 모습이 보이면 소원이 이루어 진다는 속설이 있다.
|
![]() |
![]() |
내소사 단청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은 보물 제291호로 규모는 정면 3칸·측면 3칸으로, 다포 양식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건물의 앞쪽에 달린 문살은 꽃무늬로 조각하였다. 단청은 전체적으로 내·외부 모두 금단청 형식으로 용문양을 비롯해 학, 봉황, 주악천인, 매화도 등이 그려진 계풍별화와 나한도가 그려진 판벽화, 그리고 불상이 표현된 포벽화 등 다양한 소재의 문양과 회화작품이 포함되어 있다.
|
백의관음보살좌상
대웅보전 삼존불을 모신 불단 후불벽면에는 전체 가득히 백의관음보살좌상이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 벽화는 국내에 남아 있는 백의관음보살좌상으로는 큰 것이어서 더욱 귀중하다. 백의관음보살좌상의 눈을 보고 걸으면 눈이 따라오는데 그 눈을 바라보면서 소원을 빌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
![]() |
![]() |
대웅보전의 꽃문살
내소사 대웅보전의 꽃 문살은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가장 잘 표현한 것으로, 우리나라 장식무늬의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꽃살은 나뭇결이 그대로 도톰하게 살이 오른 것 같아 더욱 아름답다. 대웅보전의 절묘한 꽃잎 문살은 꽃 한잎 한잎이 살아 움직이는 듯하며 그 예술성은 다른 곳에서 예를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도로 독특하고, 여섯 잎 보상화를 조각하며 기묘하게 맞추어 나간 연속문양 솜씨는 감탄을 부른다.
|
고려동종
고려 고종 9년(1222)에 내변산에 소재한 청림사에서 제작되었으나 청림사가 폐사된 후 오랫동안 매몰되었다가 조선 철종 1년(1850) 내소사에 옮겨진 것으로 전형적인 고려후기의 동종이다.
|
![]() |
![]() |
영산회괘불탱
야외에서 큰 법회나 제를 지낼 때 걸어놓고 예배하는 괘불(掛佛)로서, 1700년(숙종 26)에 제작된 영산회상 괘불이다. 영산회상이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석가모니와 제자들을 그린 불화를 말하는데, 중앙에는 원형의 두광과 신광을 두른 거대한 석가모니불이 붉은 법의를 걸치고, 오른손은 무릎 아래로 내리고 왼손은 배부근으로 올리고 서 있다. 이 괘불탱은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 앞쪽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뒤쪽 좌우에는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 및 다보여래, 아미타여래 등이 모두 석가모니를 향하여 시립하고 있다. 이 괘불탱은 각 존상의 광배 안에 존상의 명칭을 적어 놓아 이후 다른 괘불의 존상 명칭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백지묵서묘법연화경 백지묵서묘법연화경은 1415년(태종 15) 이씨 부인이 남편 유근(柳謹)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제작한 묘법연화경의 필사본으로 모두 7권 7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표지는 감지(감색으로 물들인 종이)에 금니(금박의 가루로 그림이나 글씨를 쓰는데 쓰임)로 외곽을 두르고 내부의 4매의 연화문을 배치한후 그 안에 책이름을 쓰고 백지 위에 법화경의 본문을 써 내려갔으며, 글씨는 한면에 6행씩으로 한 행에 17~19자의 행당 자수는 일정치 않으나 제 1권에는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부처님과 권속들을 섬세하고 정교한 필선과 능숙한 솜씨로 그려낸 변상도가 있다. 건실한 필치가 돋보이는 이 사경은 조선시대 초기의 사경으로서 완전하게 보존된 보기 드문 일품에 속한다 하겠다 . 현재 불교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
이용시기 | 연중무휴 |
---|---|
이용시간 | 상시 |
주차시설 | 있음 |
쉬는날 | 연중무휴 |
검색결과 135건 (6/135)
8월말에 방문했는데 그늘이 많아서 선선하고 산책하기 좋더라구요~ 가을에도 한번 가보고싶어요!
내소사는 한번 쯤은 무조건 가봐야할 곳이예요! 전나무 숲길을 걸으면 눈과 마음이 모두 정화되고 정말 좋은 관광지 인것 같아요! 사계절 내내 어느 계절 빠짐없이 좋은 곳입니다! 아름다운 내소사 한번 꼭 가보세요!
단풍은 즐기고 싶은데 산행은 싫으신 분은 꼭 내소사를 가보시길 바래요!!! 나무들이 일렬로 길을 내어주는데 붉고 노랗게 물든 단풍의 향연은 근심 걱정을 잠시나마 잃고 그 길을 따라 걷게 된답니다~ 저는 생각보다 규모가 커서 놀랬기도 했고 알록달록 절 안의 멋진 경관에 다시 한 번 더 놀랬네요^^
우연히 들렸다가 매년 가는 곳이 됐어요! 힐링하고싶을때 숲길 산책하면 기분이 좋아져요~ 봄에는 벚꽃도 피어서 더더 이쁩니다!!
부안에 가면 꼭 들리는 곳입니다. 커다란 나무들이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는 전나무 숲길이 산책하기 좋고, 고즈넉한 분위기의 사찰은 운치가 있어 좋은 곳입니다. 내소사 바로 옆에 지장암이라는 부속 절이 있는데 그곳도 꼭 둘러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꽃이 가득 피어 있어 내소사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더라고요.
사실 내소사는 잠깐 들리고 내소사로 향하는 토탈관광 홈페이지에서 사진을 보고 힐링하기 좋을 것 같아서, 전나무 숲길에서 시간을 보내고 왔습니다. 정말 편안하고 한주동안 쌓였던 피로과 스트레스가 풀리는듯 했습니다. 다음에 또 가서 내소사까지 다녀올 계획입니다.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