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덕향교는 태종 6년(1406)에 흥덕현에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때 소실된 것을 광해군 13년(1621)에 현재의 위치에 다시 지었으며 그후 당시 흥덕현 유림들의 숙원으로 숙종 원년(1675)에 어명에 의해 중창되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3칸의 대성전, 5칸의 명륜당, 각 3칸의 동재와 서재, 4칸의 사마재, 4칸의 양사재, 헌관실, 고직사등이 있다. 明倫堂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고, 東齋와 西齋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의 건물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인 대성전의 내부에는 다른 소설위 향교에서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五聖 四賢, 우리나라의 18賢을 配享하고 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원래 이 곳은 갈산사 터였다고 하는데, 실제로 주초 중 몇기는 사찰건물에서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흥덕향교의 소장 전적으로는 판본 117종 206책, 사본 14종 16책이 있으며, 이 가운데 『교전답총기』·『교궁총록』·『창의록』등은 향토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全羅北道, 1990,『文化財誌』
검색결과 231건 (6/231)
등록된 후기가 없습니다.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