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기후이야기
전라북도(전주기준)의 연 평균기온은 100년 전 보다 2.1℃ 상승하였고,
기후변화 영향으로 여름은 길어지고 겨울은 짧아 졌습니다.
- 봄
- 여름
- 가을
- 겨울
봄
최근 10년 평균 봄꽃 개화일은 평년과 비교하여 빠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꽃 이름 | 평년값 (1991~2020년) |
최근 10년 평균값 (2012~2021년) |
---|---|---|
|
3월 13일 | 3월 9일 |
|
3월 24일 | 3월 21일 |
|
3월 29일 | 3월 27일 |
|
4월 3일 | 3월 30일 |
|
5월 8일 | 4월 22일 |
[개화 기준] 꽃봉오리가 피었을 때 (한 개체에 많은 꽃이 피는 개나리, 벚꽃 등 다화성 식물은 임의의 한 가지에 세 송이 이상 꽃이 활짝 피었을 때)
꽃구경 가기 좋은 추천 여행지
여름
최근 10년 평균 폭염, 열대야일수는 평년과 비교하여 증가 하였습니다.
-
폭염일수
최근 10년 평균 폭염일수는
평년(1991~2020년)과 비교하여
3.3일 증가 -
열대야일수
최근 10년 평균 열대야일수는
평년(1991~2020년)과 비교하여
1.7일 증가
[폭염일수]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수 / [열대야일수] 밤 최저기온(18:01~익일 09:00)이 25℃ 이상인 날의 수
<최근 10년(2012~2021년) 폭염 및 열대야 일수>↔ 테이블을 좌우로 움직여주세요
구분 | 전북 | 전주 | 군산 | 부안 | 임실 | 정읍 | 남원 | 장수 |
---|---|---|---|---|---|---|---|---|
폭염일수(일) | 15.3 | 22.7 | 9.8 | 15.8 | 13.2 | 21.8 | 18.3 | 5.6 |
열대야일수(일) | 8.1 | 15.9 | 12.3 | 13.0 | 0.6 | 11.7 | 2.8 | 0.2 |
[전라북도] 1991년 이후 연속적으로 관측자료가 있는 7개(전주,군산,부안,임실,정읍,남원,장수)지점의 관측값 사용
폭염/열대야 피하러 가기 좋은 추천 여행지
가을
최근 10년 평균 단풍시기는 평년과 비교하여 늦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 이름 | 평년값 (1991~2020년) |
최근 10년 평균값 (2012~2021년) |
---|---|---|
|
10월 20일 | 10월 22일 |
|
10월 11일 | 10월 15일 |
|
- | 10월 15일 |
[단풍기준] 산 전체로 보아 정상에서부터 20% 가량 단풍이 들었을 때를 시작일로 한다.
[덕유산] 단풍 관측 2015년부터(평균값 2015 ~ 2021년)
단풍구경 가기 좋은 추천 여행지
겨울
최근 10년 평균 첫눈 오는 날(전주 기준)은 1970년대와 비교하여 9일 늦었습니다.
1970년대(1971~1980년) 11월 20일 대비
2010년대(2011~2020년)는 11월 29일로 9일 늦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의 영향으로 계절길이가 변화하고 있어
첫눈 시작일은 점차 늦어지고, 종료일은 빨라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죠.
↔ 테이블을 좌우로 움직여주세요
구분 | 전주 | 군산 | 부안 | 임실 | 정읍 | 남원 | 장수 |
---|---|---|---|---|---|---|---|
평년값 | 11월 29일 | 11월 26일 | 11월 30일 | 11월 23일 | 11월 26일 | 11월 24일 | 11월 17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