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부안] 교과서에 나오는 고인돌을 찾아서

코스 중 고창읍성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고인돌 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고창선운산도립공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곰소염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내소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새만금 홍보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고창읍성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고인돌 박물관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고창선운산도립공원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곰소염전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내소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의 대표 이미지
코스 중 새만금 홍보관의 대표 이미지
연관태그
서부권 1박2일 With 미슐랭코스 가족 친구 체험 학습
여행후기
☆☆☆☆☆ (0)건
코스소개
  • 고창읍성
  • 고인돌 박물관
  • 고창선운산도립공원
  • 곰소염전
  • 내소사
  •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 새만금 홍보관

세계적인 여행안내서 미슐랭 그린 가이드가 소개한 만점짜리 전북의 명소를 수학여행에서 만나요!
청동기문화가 살아있는 고창 고인돌군락지!


○ 1일
고창읍성→고인돌유적지→고인돌박물관→중식→학원관광농장→체험프로그램→선운사도립공원(석식, 숙박)
○ 2일
조식→선운사 산책→곰소염전→내소사→중식→신재생에너지테마파크→새만금→집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은 자연석으로 만든 성곽으로 사적 제145호로 지정되었으며 모양성이라고도 부른다. 이곳은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석성으로, 고창의 방장산을 둘러싸고 있다. 읍성임에도 불구하고 산을 둘러 성을 쌓았기 때문에 파괴되지 않고 비교적 잘 보존된 성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완벽하게 보존된 성이다. 고창읍성은 여자들이 만들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그래서 지금도 여자들만이 참여하는 성밟기 행사가 매년 이루어진다. 성밟기 놀이는 마을의 평안과 개인의 액막이를 겸하는 목적도 있고, 외적을 방비하는 성을 1년에 한 번씩 점검하고 발로 성을 밟아 견고하게 다지는 목적도 있다. 고창읍성의 성밟기는 머리에 손바닥만한 돌을 이고 3번을 도는데, 한 바퀴를 돌면 다리병이 낫고, 두 바퀴를 돌면 무병장수하고, 세 바퀴를 돌면 극락승천한다는 전설이 있다. 이렇게 쌓인 돌은 유사시에 좋은 무기가 되기도 했다고 한다. 성내에는 1871년에 세운 대원군 척화비가 서 있고 읍성 앞에는 조선 후기 판소리의 대가인 신재효의 생가가 있다. 조선시대 고창현의 읍성으로서, 장성 입암산성과 함께 호남 내륙을 방어하는 전초 기지의 역할을 하였다. 전래풍속_답성(성밟기)놀이 답성(성밟기)놀이 성을 밟으면 병이 없어 오래살고 저승길엔 극락문에 당도한다는 전설 때문에 매년 답성놀이 행사가 계속되고 있으며, 성밟기는 저승문이 열리는 윤달에 해야 효험이 많다고 하며 같은 윤달이라도 3월 윤달이 제일 좋다고 한다. 또한 엿새날이 저승문이 열리는 날이라고 하여 초엿새, 열엿새, 스무엿새날에 답성 대열이 절정을 이루고 있다. 성을 "한 바퀴 돌면 다리병이 낫고, 두 바퀴 돌면 무병장수하며 세 바퀴 돌면 극락승천 한다."고 한다. 성을 돌 때는 반드시 손바닥만한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돌아 성 입구에 다시 그 돌을 쌓아 두도록 되어 있다. 고창 읍성이 아낙네들의 힘만으로 축조되었다는 전설적 사연으로 답성도부녀자들 만의 전유민속이 되었지만 흙 한줌, 돌 한 개도 모두가 부녀자들의 손과 머리로 운반, 구축되었던 당시의 대역사를 되새겨 보는 뜻으로 돌을 머리에 이고 도는 풍습이 남아있다. 또한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도는 관습은 여인네들의 체중을 가중시켜 성을 더욱 단단히 다지게 하는 의도였을 것이다. 그리고 가장 깊은 뜻은 이 성곽의 축성 배경이 왜침을 막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유사시의 석전에 대비하는 유비무환의 예지로서 머리에 인 돌을 성안에 쌓아 두고갔다는 전설도 모두가 호국의 예지를 빛내 주는 이야기들이다. 고창군에서는 답성민속을 기리기 위해 음력 9월 9일인 중양절을 군민의 날로 정하고「모양성제」와 함께 답성놀이를 재현하고 있다. 전래풍속_수문장 재현 수문장 재현 음력 9월 9일을 전후하여 4일간 '모양성제'가 열리며, 이때 조선시대 관군복장을 갖춘 수문장이 고창읍성을 수호하는 장면을 재현된다. 고창 읍성의 성곽 주위에 수십개의 옛 진영 깃발을 꽂아 고을수령(현감)이 재임하던 시절 관아의 위엄을 갖춰놓고 형형색색의 멋진 조선시대 관군복에 칼을 든 수문장과 흑백색의 순라복장에 창을 든 포졸을 공북루에 배치했다. 특히, 스스로 관군이 되어보기를 원하는 관광객을 위해 관리사무소에 관군복을 비치해 놓고 이를 빌려줌으로써 사진촬영을 통해 관군으로서의 체험도 직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도 마련해 놓고 있다.

고인돌 박물관

고인돌 박물관 개요 우리나라에는 약 30,000여 기의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고, 그 중에서 고창에는 약 2,000여 기가 있으며, 고창고인돌유적은 세계적으로도 가장 밀집도가 높고, 다양한 형식의 고인돌이 산재해 있는 특색이 있다. 고인돌 박물관 소개 우리나라에는 약 30,000여 기의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고, 그 중에서 고창에는 약 2,000여 기가 있으며, 고창고인돌유적은 세계적으로도 가장 밀집도가 높고, 다양한 형식의 고인돌이 산재해 있는 특색이 있다.고창고인돌유적은 1965년 문화재 지표조사를 시작으로 수차례의 발굴 및 지표조사, 국제학술 심포지움 등을 개최하여 역사적 고증에 심혈을 기울인 결과, 1994년 12월 문화재로 지정(사적 391호)되었고, 2000년 12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영광을 안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은 고창고인돌유적을 더욱 체계적으로 보존 전승시켜 후세의 산 교육장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우리군에서는 2004년 12월에 고창고인돌박물관의 시작을 알리는 첫 삽을 들어, 2008년 9월 25일 개관하게 되었다. 고창고인돌박물관은 청동기시대의 각종 유물 및 생활상과 세계의 고인돌문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기에 여러분들에게 최고의 감동과 만족을 드릴 것이며, 우리 역사의 바탕이 되었던 선사인들이 남긴 삶의 흔적을 찾아 수년간 심혈을 기울여 탄생한 국내 유일의 고창고인돌박물관이 여러분에게 아득한 시절의 옛 이야기를 들려 드릴 것이다. 편안한 학습과 정신적인 휴식을 드리는 고창고인돌박물관에서 무한한 선사인의 숨결을 느껴보시기 바란다. 해설이 있는 고인돌 박물관 역사여행 문화관광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고인돌 박물관을 둘러볼 수 있다. 청동기 시대의 유물 및 생활상, 고인돌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담고 있어 시간여행을 하는 듯 생동감이 넘친다. 새롭게 단장한 고인돌 박물관 2층 고인돌을 운반하는 고창 선사인들의 모습을 실물크기로 재현한 모습과 청동기시대의 움집제작, 도구제작, 농경생활, 운곡리 고인돌 모습과 고창 선사인들의 삶과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새롭게 단장한 대형 빔프로젝트 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다. 2층 전시관 전체 360도 모든 공간을 활용하여 실감나게 표현하여 그때 당시의 삶을 충분히 느낄 수 있게 구성하였다.

곰소염전

소개 및 역사 곰소염전은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진서리에 위치한 우리나라에서 몇 안 되는 천일염 생산지이다. 조선시대에는 줄포만에서 곰소만까지 화염(바닷물을 끓여 만든 소금)을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의 염전은 일제 말기에 건설되었으나 해방 이후부터 천일염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부안 곰소 천일염업은 국가중요어업유산 제10호로 지정되어 있어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조선시대부터 이어온 소금 생산의 역사는 우리나라 염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천일염 생산 곰소염전에서는 4월부터 10월까지 천일염을 생산한다. 특히 5월과 6월에 소금 생산량이 가장 많고 맛도 좋기 때문에 이 시기가 염부들에게는 수확의 계절이다. 곰소염전의 천일염은 천연 미네랄과 영양분이 풍부하며, 마그네슘이 적고 맛이 쓰지 않은 최상급 소금으로 평가받는다. 고농도 염수를 재사용하지 않아 은근한 단맛이 특징이며, 이는 곰소염전만의 독특한 생산 방식에서 비롯된다. 염부들의 오랜 경험과 전통적인 염 생산 기술이 결합되어 고품질의 천일염을 만들어낸다. 특징 및 가치 곰소염전은 채석강에서 고창까지 이어진 세계적 수준의 갯벌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곰소만의 입지 조건상 바닷물에 미네랄이 많기 때문에 소금의 맛을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이곳에서 생산된 천일염으로 절인 젓갈이 유명하며, 곰소젓갈시장에서 다양한 젓갈을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잔잔한 물에 비친 하늘이 볼리비아의 우유니 소금사막과 비슷해 SNS 인생샷 명소로 인기가 높다. 염전의 풍경은 계절과 시간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어 사진 애호가들에게 특히 사랑받는 장소이다. 주변 명소 및 시설 곰소염전 근처에는 슬지제빵소 카페가 있어 염전을 바라보며 찐빵을 즐길 수 있다. 이 카페는 현재 부안에서 가장 핫플레이스로 손꼽히고 있으며, 염전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곰소젓갈시장이 인근에 위치하여 천일염으로 만든 젓갈을 구입할 수 있다. 방문 시 염판 내부 출입 금지 기간이 있으니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다. 염전과 주변 시설을 함께 둘러보며 부안의 전통 염업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출처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4d88a926-a25f-4b7b-92b8-5a863f0de3a1 | 대한민국 구석구석 출처 https://xn--ok0b236bp0a.com/place/14156 | 여기유

내소사

소개 관음봉(능가산) 아래 자리한 내소사는 약 1,300여 년의 역사를 간직한 천년고찰이다. 조계종 제24교구 선운사의 말사로, 한국 33관음성지 중 하나이며 국립공원 문화유산지구로 지정되어 있다. 사찰에서 바라보는 곰소만의 조망 경관이 뛰어나며, 2023년 5월 4일부터 무료 입장이 가능하다. 전나무 숲길 일주문에서 천왕문까지 이어지는 약 600m~1km의 전나무 숲길은 내소사의 대표적인 명소이다. 오대산 월정사, 광릉 국립수목원과 함께 한국 3대 전나무 숲길로 손꼽힌다. 소나무 숲 사이로 조성된 진입로는 맨발로 걷는 흙길 체험이 가능하여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힐링 경험을 제공한다. 2012년 태풍 볼라벤으로 쓰러진 전나무는 그대로 보존되어 생태계 순환 과정을 보여주는 교육 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대웅보전 보물 제291호로 지정된 대웅보전은 조선 중기 사찰 건축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못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나무를 끼워맞추는 방식으로 건축되었으며, 꽃살문 창살의 섬세한 문양과 정교한 문살 조각은 한국 장식미술의 최고 수준을 보여준다. 특히 목조 조각 예술의 정수를 감상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대형 백의관음 벽화가 그려져 있어 국내 최대 규모의 벽화로 알려져 있다. 고려 동종 보물 제277호로 지정된 고려 동종은 1222년에 주조되었으며, 1850년 이전에 내소사로 이전되었다. 현재 보종각에 보관되어 있으며, 고려시대 범종 제작 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재이다. 주요 문화재 영산회괘불탱 1700년에 제작된 영산회괘불탱은 보물로 지정되어 사찰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3층 석탑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24호로 지정된 3층 석탑은 내소사의 역사적 가치를 더해주는 석조 문화재이다. 경전 필사본 1415년에 손으로 직접 쓴 경전 필사본이 보존되어 있어, 조선 초기 불교 문화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설선당과 요사채 사찰의 부속 건축물로서 설선당과 요사채는 전통 사찰 건축 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다. 천연기념물과 자연 경관 대웅보전 앞에 위치한 느티나무는 부안군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수령 약 1,000년, 높이 20m, 둘레 7.5m에 달하는 거목으로 내소사의 역사와 함께 세월을 견뎌온 생명력을 자랑한다. 가을철에는 사찰 전체가 단풍으로 물들어 명소로 유명하며,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다. 시설 및 편의 안내 내소사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전통 사찰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주변에는 식당과 숙박시설이 마련되어 있어 방문객들의 편의를 돕는다. 넓은 공용 주차장이 조성되어 있어 주차가 편리하다. 찾아오시는 길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연락처: 063-583-7281 홈페이지: www.naesosa.kr 입장료: 무료 (2023년 5월 4일부터) 출처 https://www.buan.go.kr/tour/board/view.buan?boardId=BBS_0000241&menuCd=DOM_000000208001000000 | 부안군 문화관광 출처 https://blog.naver.com/jbgokr/223211127349 | 전북특별자치도 공식 블로그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소개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는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하서면에 위치한 종합 에너지 교육 시설로, 신재생에너지를 직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신개념 복합공간이다. 테마별로 신재생에너지를 체험할 수 있는 교육 시설로, 실증연구단지, 산업단지, 컨벤션센터 등을 갖추고 있다. 3층 규모의 테마체험관을 중심으로 미래 에너지 위기, 신재생에너지, 스마트 그린시티를 주제로 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VR 체험 서비스를 통해 사전에 시설을 관람할 수 있으며, 회차별 예약제로 운영되어 체계적인 관람이 가능하다. 테마체험관 구성 1층 - 블랙아웃 체험 2040년 미래의 에너지 위기 상황을 가상으로 체험하며, 에너지의 중요성과 위기 대응 방법을 학습한다. 지구의 어느 날을 주제로 미래 에너지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체험형 교육을 제공한다. 2층 - 에너지 체험 신재생에너지를 직접 체험하고 학습하는 공간으로, 다양한 에너지원의 원리와 활용 방법을 실습한다. 태양광, 풍력, 수력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의 특성과 장점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3층 - 미래도시 체험 스마트 그린시티의 구현 방식을 학습하는 공간으로, 친환경 미래 도시의 모습을 체험한다. 에너지 효율적인 도시 설계와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운영 정보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는 회차별 예약제로 운영되며, 1일 총 4회차로 나누어 관람객을 맞이한다. 각 회차는 1회차 09:30, 2회차 11:00, 3회차 13:30, 4회차 15:00에 시작하며, 회차당 최대 30명까지 수용 가능하다.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통해 사전 예약이 가능하며, 3D 체험관맵으로 시설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시설 및 편의시설 테마파크 내에는 3층 규모의 테마체험관을 비롯하여 컨벤션센터, 기숙사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실증연구단지가 함께 조성되어 있어 신재생에너지 연구 및 실증 사업이 동시에 진행된다. 포토갤러리를 통해 시설 이용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VR 체험으로 사전에 시설을 둘러볼 수 있다. 컨벤션센터와 기숙사는 단체 방문객이나 장기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를 위한 숙박 및 회의 시설로 활용된다. 위치 및 접근성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는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하서면 신재생에너지로 10에 위치하고 있다. 부안군의 주요 관광 명소로 자리잡고 있으며, 새만금홍보관, 부안댐 등 인근 관광지와 연계한 여행 코스 구성이 가능하다. 반나절 코스로는 새만금홍보관 등과 함께 방문할 수 있으며, 1박 2일 코스로는 부안의 주요 관광명소를 포함한 여행 경로를 계획할 수 있다. 부안군의 대표적인 에너지 산업 교육 시설로, 가족 단위 방문객과 학생 단체 관람에 적합하다. 출처 1. https://nrev.or.kr |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공식 웹사이트 출처 2. https://www.buan.go.kr/index.buan?menuCd=DOM_000000108009000000&menu=content&allSearchTerm=신재생에너지%20테마파크&page=1 | 부안군청 콘텐츠

새만금 홍보관

소개 새만금홍보관은 지하1층, 지상3층 규모의 관광시설로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변산면 새만금로 6에 위치한다. 부지면적 4,200평, 연면적 1,100평 규모의 건물로 새만금 간척사업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정보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과 가능성'을 전시와 교육 자료를 통해 공유하며, 입장료와 주차비 모두 무료로 운영된다. 정기휴무는 매주 월요일이며, 진입도로는 24시간 개방되어 야간 통행이 가능하다. 주요 시설 홍보관에는 기획전시실, 상설전시실, 홍보영상관, 전망대, 회의실, 휴게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사업지구를 조망할 수 있는 VR 시설을 통해 새만금 전체를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으며, 수위 모니터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 시설 탐방을 위한 사이버 투어 기능을 제공하며, 단체 방문을 위한 예약 시스템도 운영 중이다. 관광안내소가 함께 운영되어 도보여행 및 투어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전시 내용 전시실에는 우리나라 간척기술의 발전과정과 새만금 간척사업의 역사를 다루는 전시물이 배치되어 있다. 현재의 토지이용 문제점, 간척사업의 단계별 추진경과, 수질개선대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새만금 지역 주요 철새도래지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새만금지구 전체 모형, 배수갑문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다. 새만금의 환경, 개발 비전을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전시 구성으로 방문객의 이해를 돕는다. 교통 및 관광 정보 마실버스 01번 노선이 새만금 임시 홍보관 정차지점으로 운영되며 08:30, 10:00 등의 시간대에 운행된다. 드라이브 코스 및 마실길 등 부안 주요 관광 루트에 포함되어 있으며, 스탬프투어 관광지로 지정되어 1일, 2일 종합관광 코스에 포함된다. 변산 마실길 1코스는 새만금 홍보관에서 시작하여 대항리 패총, 변산해수욕장, 송포항으로 이어지는 도보 관광 코스이다. 주변 관광지로 군산, 김제, 부안 지역의 관광 명소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출처 1. https://www.buan.go.kr/index.buan?menuCd=DOM_000000108009000000&menu=content&allSearchTerm=새만금 홍보관&page=1 | 부안군청 출처 2. https://www.isaemangeum.co.kr/ | 새만금개발공사 출처 3. https://www.buan.go.kr/ | 부안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