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2월 26일 사적 제346호로 지정되었다. 옛 무장현(茂長縣)의 객사(客舍)와 동헌(東軒), 읍성을 포함한다.
무장읍성은 1417년(태종 17) 무장진 병마사 김노(金蘆)가 왜구(倭寇)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평지성으로, 길이 약 1.2km이다.
동문은 터만 있고 남문인 진무루(鎭茂樓)가 남아 있는데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건물이다. 남문 주위에 석축이 남아 있고, 성 주위에는 너비 4m, 길이 574m 정도의 해자 흔적이 있다.
성 안에는 객사(전남유형문화재 34)와 동헌(전남유형문화재 35)이 남아 있다.
무장면 성내리에 있는 이 성은 1991.2.21 사적 제346호로 지정되었으며, 성의 남문인 진무루에서 무장초등학교 뒷산을 거쳐, 해리면으로 가는 도로의 좌편까지 뻗어 있는데 성의 둘레는 약 1,400m, 넓이는 43,847평이다. 조선 태종 17년(1417) 병마사 김저래가 여러 고을의 백성과 승려 등 주민 2만여 명을 동원, 흙과 돌을 섞어 축조하였다. 성내에는 객사, 동헌, 진무루 등 옛 건물이 그대로 남아있고 건물 주변에는 여러 가지 유구들이 산재해 있다.
진무루 후경성문 위엔 진무루라는 한자가 적혀져 있는 현판이 걸려있다. 성은 허물어져 객사와 동헌, 남문인 진무루가 전해질 뿐, 동문과 해자 사직단 등은 흔적만 남아 있다. 이 성은 원래 돌로 축적한 석성이였으나 훗날 허물어진 곳을 흙으로 보강하여 토성이 되었다고 한다.
1915년에 발견된 「무장읍지」에 의하면 조선 태종 17년(1417) 병마사 김저래가 여러 고을의 백성과 승려 등 주민 20,000여 명을 동원하여 그 해 2월부터 5월까지 만4개월 동안에 축조했다고 전한다.